시민단체 활빈단(대표 홍정식)은 정홍원 국무총리에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반국가·이적활동을 한 반역도들에 지급한 보상금 전액 환수를 요구 했다.
또 강창희 국회의장과 여야대표에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잘못 지급된 보상금 환수조치법을 입법화 하라고 주문했다.
활빈단은 내란음모 혐의로 체포 구속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도 반국가단체인 민족민주혁명당 사건으로 실형을 선고받고도 노무현 정권초 ‘민주화 유공자’로 둔갑돼 대통령 특사로 풀려난데다 지하무장혁명조직인 ‘RO’ 조직원들도 다수가 민주화운동 보상위로부터 모두 6000여만 원의 보상금을 받아간것만 보아도 민보상법 수혜자 선정이 엉터리 일색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활빈단은 반국가단체인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24명,남조선민족해방전선 관련자 47명, 제헌의회그룹 24명등 국가,사회를 좀 먹는 암적 단체인 반국가·이적단체 조직원 282명이 보상금을 챙긴데다 부산 동의대 사건 주범들에겐 평균 2500만원,2011년 왕재산 간첩단 사건 관련자들에게 까지 수천만 원의 보상금이 국민 혈세로 지급됐다고 맹비난했다.
이와함께 활빈단은 민주화 보상법이 위원회의 결정에 중대한 변경 사유 발생시 재심의할 수 있고 보상금의 환수도 가능하도록 규정해 놓은 만큼 전면 재조사후 옥석을 가려 종북반역도들이 타먹은 보상금을 전액환수 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아울러 활빈단은 총리실의 조치가 미흡하면 길태기 검찰총장 직무대리에 민주화유공자로 둔갑해 보상금을 받아간 가짜 유공자를 가려,사법처리해 줄 것을 특별수사 요구할 계획이다.
더불어 활빈단은 감사원에 중앙부처,전국지자체,공기업들이 친북,종북단체들의 끈질긴 요구에 못이기거나 알아서 지급한 보조금,후원금,보험성 성금 명세를 밝혀내고 민보상위원의 정치성향에 따라 자의적 판단으로 부당한 지급과정의 투명성등에 대한 특별감사에 나서라고 주문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