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미, BDA `최후해법' 제시...북 선택 주목

"북 자금, BDA 동결 이전 상태로 회귀"
"북, 계좌유지.인출 모두 가능"

미국이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와 관련해 북한측에 사실상 최후해법을 제시함에 따라 북한측의 반응이 주목된다.

북한측이 이 해법을 받아들일 경우 그동안 진전을 이루지 못했던 6자회담 2.13합의 이행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측이 현재 미국의 제안에 대해 어떤 태도를 보이고 있는 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0일 오후 시내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방한중인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와 만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현 상황은 2005년 9월 BDA (북한) 자금이 동결되기 이전 상태로 돌아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돈을 찾는데 필요한 조치를 잘 알고 있다"면서 "내일부터는 모든 (북한) 계좌 주인들이 자유롭게 찾아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천 본부장은 "계좌에 돈을 둘 수도 있고 두면서 계속 거래를 할 수도 있고 찾고 싶으면 찾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그러나 "북한이 (이번 해법을)어떻게 보는 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해 북한의 수용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천 본부장은 "북한이 취해야 할 영변 핵시설 폐쇄 조치를 조속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도 "돈을 찾는데 (북한자금이) 합법이든 불법이든 상관없다"면서 "북한이 이 조치에 대해 어떻게 할 지는 북한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이 BDA를 돈세탁 우려 대상으로 지정하고 미국은행과의 거래를 막은 조치 자체는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 재무부의 몰리 밀러와이즈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은 마카오 당국이 BDA에 현재 동결돼 있는 모든 북한 관련 계좌의 동결을 풀 준비가 돼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 마카오 및 북한 관리들과 이뤄진 이전의 논리 및 이들 자금의 용도에 관해 북한과 함께 도달한 양해에 기초해 미국은 문제의 계좌들을 푼다는 마카오 당국의 결정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