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재 변호사가 최서원(최순실) 항소심에서 태블릿PC 관련 공방기일을 TV생중계하자고 파격 제안했다. 최씨 측 변호인인 이경재 변호사는 9일,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판결문 중 태블릿PC 관련 논리와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반론 의견서를 냈다. 이 변호사는 의견서에서 국과수의 과학적 보고서를 외면하고, 공범으로 의심받고 있는 김한수의 증언만을 근거로 태블릿은 최순실의 것이라고 판단한 법원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이 변호사는 “김세윤 재판부는 태블릿PC의 검증·감정을 채택하고 국과수의 철저하고 방대한 포렌식분석자료(약 2만 5천쪽)와 감정보고서를 제출받았고 증거로 채택했다”고 지적하면서 “재판부가 과학적으로 분석 검토된, 스스로 채택한 감정보고서 결과를 도외시하고 그와 달리 태블릿이 최서원이 사용한 것이라고 판단한 데 대해 아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실제 국과수는 보고서 35쪽, 156쪽에는 “2016. 10. 18.자 이후 태블릿PC의 전체에 대해 무결성이 유지되지 않음”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재판부는 최순실이 “태블릿PC는 네가 만들어 주었다며?”라고 했다는 김한수의 발언만을 근거로 채택, ‘경험칙상’으로 보아 최순실이 태블릿을 사용했기 때문
법원이 ‘김한수의 말’한 마디를 근거로 태블릿PC를 최순실의 것으로 판단했다는 소식을 전하는 기사들에 수천개의 비난 댓글이 달리고 있다. 연합뉴스 송진원 기자는 지난 7일 ‘법원 "태블릿PC, 최순실이 사용"…핵심증거는 최씨의 '말'’ 제하의 기사를 통해 “국정농단 의혹의 기폭제가 된 '태블릿PC'의 '주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법원이 "최순실씨가 사용한 게 맞다"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기사가 게재된 네이버 포털에는 대부분 비난 댓글들 뿐이다. 송진원 기자에 따르면, 법원이 태블릿이 최순실의 것이라고 판단한 근거는 ‘김한수의 말’ 뿐이다. 송 기자는 “태블릿PC는 네가 만들어 주었다면서?”라는 최순실의 말을 근거로 법원이 경험칙에 의거해 태블릿PC는 최순실의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러나 연합뉴스가 최순실이 한 말인 것처럼 덮어씌운 위 발언은, 김한수의 주장, 전언일 뿐이다. 문제는 8일 현재까지 대부분의 법조기자들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1심 판결문을 구경조차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독 JTBC만이 판결문을 직접 보고 인용하는 듯한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 연합뉴스 송 기자도, 법조 출입기자들에 따르면 실제로 1심 판결문을 입수해서 읽어보고
법원은 6일 오후 2시 10분부터 약 2시간에 걸쳐 생중계한 1심 선고공판은 물론, 법조 출입기자들에게 돌린 보도자료에서도 '태블릿PC'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검찰은 JTBC 제출 태블릿PC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무상 기밀누설 혐의를 입증하는 핵심 증거라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국과수 감정 결과 이 태블릿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한 것일뿐 아니라, 연설문을 수정하는 문서편집 프로그램이 없고, 최순실 조카의 사진이 무단 삽입된 것으로 밝혀졌다. 때문에 법원이 태블릿을 증거로 채택할 지 여부는 초미의 관심사였다. 이경재 변호사의 성명서는 법원이 태블릿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생중계를 끝낸 시점에서 발표된 것이다. 그런데, 이날 저녁 JTBC를 통해 단독 공개된 판결문에는 태블릿PC에 대한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세윤 재판장이 최순실 것이라는 근거가 희박한 태블릿PC를 박 전 대통령의 공무살 기밀누설 혐의 증거로 채택하기 위해 JTBC를 제외한 모든 언론을 따돌리는 꼼수전략을 택했던 셈이다. - 편집자주 최서원 씨 변호인 이경재 변호사가 김세윤 재판장을 향해 ‘유취만년(遺臭萬年)’이라는 고사성어를 꺼내들어 비판했다. 이경재 변호사는 6일, 박근혜 전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재판부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도 “다수가 사용한 것”으로 판단한 ‘JTBC 태블릿PC’를 증거로 채택 하기 위해, 김한수의 말을 최순실의 말로 둔갑시키는 무리수를 뒀다. 연합뉴스 송진원 기자는 7일 ‘법원 "태블릿PC, 최순실이 사용"…핵심증거는 최씨의 '말'’ 제하의 기사를 통해 “국정농단 의혹의 기폭제가 된 '태블릿PC'의 '주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법원이 "최순실씨가 사용한 게 맞다"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송진원 기자는 “핵심증거는 최씨 자신의 말이었다”면서 “이 태블릿PC는 김 전 청와대 행정관이 개인 회사를 운영하던 시절 개통해 2012년 6월께 박근혜 당시 대통령 후보의 선거 캠프에서 일하던 이모 보좌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2013년 1월 초 최씨가 김 전 행정관에게 전화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일할 것을 권유하며 "태블릿PC는 네가 만들어 주었다면서?"라고 말한 대목에 주목했다”며 “재판부는 판결에서 "최씨로서는 이 태블릿PC를 자신이 사용하는 등 자신과 관련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김한수에게 이처럼 이야기했다고 보는 게 일반 경험칙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명
본지가 JTBC를 상대로 제기한 2억원대 민사소송이 태블릿PC LTE망 위치정보 관련 사실조회까지만 진행되고, 조작보도 관련 쟁점을 본격적으로 따지는 심리절차는 유예됐다. 본지 황의원 대표는 이에 반발, 심리절차 속개를 주장하는 의견을 거듭 개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제12민사합의부(재판장 이원신 부장판사)는 417호 법정에서 28일 오전 11시 30분에 열린 첫 변론기일에서 “양측이 관계된 형사 사건의 추이를 보면서 이번 재판을 진행하겠다”며 심리절차 유예를 선언했다. 단, 재판부는 LTE망 위치정보를 검찰과 특검이 검토해서 태블릿PC 를 최순실 씨의 것으로 결론낸 적이 있었는지에 대한 본지의 사실조회 신청은 받아들였다. 재판부가 거론한“양측이 관계된형사 사건”이란 ‘손석희 태블릿PC 조작보도’ 의혹 제기와 관련, 본지와 JTBC가 쌍방 고소한 사건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 사건 담당검사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 홍성준 검사는 사건 접수 1년이 훌쩍 지나도록 사실상 수사를 전혀 진행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민사 재판부마저 사실상 답보 상태인 형사사건을 핑계 삼아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인 태블릿PC 조작보도 사건에 대한 심리절차를 중단하겠
촛불시위를 혁명이라고 칭하는 대통령과 전향하지 않은 전대협 의장 출신 비서실장이 이끄는 청와대가 대한민국 헌법개정안을 내놓았다. 법무부 장관도 아닌 일개 민정수석 비서관이 며칠에 걸쳐 조금씩 공개해오던 이른바 ‘국민 개헌안’. 최근 드디어 전문이 공개됐다. 청와대는 이를 두고 ‘국민 개헌안’이라 부르며 개헌 찬성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청와대 개헌안은 언론이 지적한 것처럼 ‘자유민주주의’에서 ‘자유’를 삭제했다. ‘자유’가 빠진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국가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있다. 헌법에서 자유를 뺐을 때, 위정자는 ‘국민이 원한다’는 논리도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독재도 가능해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또 헌법 각 조항의 주어는 ‘국민’에서 ‘사람’으로 바뀌었다. 백문이 불여일견. 주사파 정권이 거의 모든 곳을 뜯어고쳐 누더기처럼 된 헌법 개정안을 현행 헌법과 한 눈에 비교해보자. 참고로, 헌법은 그리 길지 않다. 표현도 쉽고 문장도 간결하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읽고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법이기 때문이다. 헌법은 대한민국의 근간이라는 의미다. 헌법이 변하면 대한민국도 변한다. 아래 링크한 비교분석
서울고등검찰청이 태블릿PC 특수절도죄 고발사건에 대한 재기수사를 명령했다. 얼마전에는경향신문이 김필준 JTBC 기자과 박헌영 전 K스포츠재단 과장의 관계를 폭로하고 나온데 이어, 손석희의 태블릿PC 조작보도 사건과 관련해 분위기 변화가 감지된다. 서울고검은 지난 19일, 고발인 도태우 변호사에게 보낸 수사 재개 통지문에서 “피항고인 심수미에 대하여는 항고를 기각하고, 피항고인 성명불상자에 대하여는 ‘재기수사 명령’의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JTBC가 태블릿PC 입수자라고 주장하는 김필준 기자와 그 주변 조력자들에 대한 검찰 수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고발인 도태우 변호사는 지난 2016년 12월 경 JTBC 심수미 기자와 성명불상자를 특수절도죄 혐의로 고발하는 고발장을 검찰에 제출했다. 이 사건을 담당한 당시 서울중앙지검 민영현 검사(현재 사법연수원 교수, 1972년생)는 ‘김필준 기자가 건물 관리인의 양해를 얻었다’는 이해할 수 없는 논리로 2017년 7월 6일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도 변호사는 이에 불복, 고등검찰청에 항고했다. (관련기사 :JTBC 태블릿PC 절도죄, 검찰 ‘아몰랑’ 불기소 논란) 이번에 서울고검은 도 변호사의 항고 이유가
전직 주한일본대사가 2015년 한일 양국이 극적으로 타결한 ‘위안부 합의’를 한낱 휴지조각으로 만들어버린 원흉은 바로 종북좌파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상임대표 윤미향)임을 정확하게 지적하는 칼럼을 일본의 대표적 주간지에 게재했음이 뒤늦게 드러났다.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대사는 일본 ‘다이아몬드・온라인(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에 올해 1월 22일 기고한 칼럼, ‘'한국이여, 일본인은 분노하고 있다' 전 주한대사가 한일합의 파기를 개탄하다(「韓国よ、日本人は怒っている」元駐韓大使が日韓合意反故を嘆く)’에서 문재인 정권의 위안부 후속조치를 개탄하고 반일종북 단체인 정대협이 그 배후에 있음을 고발했다. (해당 기사 번역 블로그 바로가기) 위안부 피해자 70%가 찬성한 합의를 ‘의견 반영이 안됐다’고 뒤집다니 무토 전 대사는 “1월 9일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외교부 직속 위안부합의검증팀의 결과에 입각하여 위안부합의에 관한 신방침(한국 언론은 ‘후속조치’라고 표현)을 발표하였다”면서 “그 가운데 강조했던 것은 ‘위안부합의는 정부간 비밀교섭으로 진행됐고 옛 위안부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 ‘양국간 교섭에 비공개 합의가 있었으며
일본의 한 매체가 최근 성공회대 강성현 교수가 찾아내고 서울시·서울대가 언론에 배포한 ‘위안부 학살' 자료의 신빙성을 부정하는 근거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중국 현지에서 다른 1차 사료까지 직접 확인한 결과 '학살'이라는 표현은 전혀 발견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위안부들이 생존했음을 시사하는 표현을 발견했다는 것. 일본 오키나와(沖繩)현의 지역신문인 ‘야에야마닛포(八重山日報)’는 지난 14일, “일본군에 학살당했다는 조선인 위안부 30명이 생존하여 국민당군의 포로가 되었다는 당시의 신문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기사 바로가기:‘위안부 학살’ 근거 없음. 오쿠(奥)씨, 중국에서 사료 확인(〝慰安婦虐殺〟根拠なし 奥氏、中国で史料確認) 야에야마닛포는 오키나와의 현청 소재지 나하(那覇)의 전 자위관으로, “오랫동안 위안부 문제를 추적해온 오쿠 시게하루(奥茂治) 씨가 중국 윈난성의 박물관과 도서관을 찾아다녀 관련 서적을 입수, 마이크로 필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연구센터는 지난달 27일, 국제회의를 개최하고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학살’이 발생했다며, 관련 사진과 영상을 공개했다. 이미 죽어 있는 여성들의 시신을 화면에 담고 있는 문제의 영
학문의 영역마저 빠르게 정치판을 닮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자료의 학문’이라는 통계학을 논의하는 포럼에서조차 일제시대 ‘불편한 진실’을 담은 통계를 공개했다는 이유로 관련 게시글을 삭제하고 해당 자료를 올린 학자를 포럼에서 강퇴시키는 일이 벌어졌다. 페이스북 기반 통계학 포럼인 ‘통계마당(Statistical Ground)’은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이 포럼 담벼락에 올린 다수의 통계 논의 게시글들을 일방적으로 예고도 없이 삭제했다. 게시글과 함께 진지한 논의가 담긴 여러 회원들의 댓글도 모두 날아갔다. 이우연 연구위원 최초 발굴...일제시대 에무카에 탄광 임금대장 이 연구위원이 올린 통계 자료는 일제시대 한 탄광의 임금대장 그래프. 1944년 5월, 일본 나가사키(長崎) 외곽 에무카에(江迎) 탄광 운탄부 소속 광부 119명에게 임금을 지급한 장부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당시 운탄부에는 일본인 66명, 조선인 53명이 소속돼 있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일제시대 탄광에서 함께 일한 조선인과 일본인의 개별 정보가 담긴 임금대장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해 이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에
일본 산케이신문의 자매지 ‘유칸후지(夕刊フジ)’가 근래 한국에서 반일좌파 언론을 중심으로 집중 보도한 ‘일본군의 위안부 학살 영상’에 대해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반론을 제기했다. 유칸후지는 3월 3일자로, ‘‘위안부 학살 기록’ 신빙성 의문 “새로운 발견 아니다”, 저널리스트 이시이 다카아키 씨 긴급 기고’ 제하의 칼럼을 게재했다. (원문 바로가기: 『慰安婦虐殺記錄』に大疑義 「新発見ではない」ジャーナリスト・石井孝明氏緊急寄稿) 안보와 전쟁사를 전문으로 하는 언론인인 이시이 다카아키(石井孝明) 씨는이 칼럼에서우선 ‘위안부 학살기록’과 관련하여 “사진은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이 발행한 〈‘위안부’ 문제 조사보고·1999(「慰安婦」問題調査報告・1999)〉 에 수록된 논문, ‘윈난·버마 최전선의 위안부들 - 죽은 자는 말한다(雲南・ビルマ最前線における慰安婦達-死者は語る)’에서 이미 소개된 것이며 새로운 발견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는 지난달 27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컨퍼런스’에서 이들 사진과 함께 20초짜리 흑백영상을 공개했다. 사진과 영상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된 것들이다.영상 발굴자는 반일좌파 학자로 알려진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중국 시진핑이 작년 이해찬 특사에 이어 금년 정의용 특사도 회담 과정에서 측면 하석에 앉혀 한국 외교사절을 푸대접하는 일이 벌어졌다. 외교 회담에서 측면 하석 배치는 대통령 자격인 특사에게는 있을 수 없는 외교 결례로, 문재인 정권에서 중국의 한국 무시가 관례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시진핑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방중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나 미북정상회담 등 문제와 관련한 의견을 주고받았다.문제는 별다를 것 없는 대화 내용보다도 외교 의전 관례에 어긋나는 회담 자리배치. 이날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이뤄진 한국 특사와의 회담에서 시진핑은 직사각형 대형 테이블 중앙 상석에 앉았다. 정 특사와 사절단은 일렬로 늘어선 측면 하석에 앉았다. 회사사장과 부하직원 간의 회의 시에나 흔히 볼 수 있는 자리 배치다. 대통령 특사는 일반 외교 사절과 달리 대통령의 특별한 임무를 가지고 외국에 파견되는 외교 사절을 의미한다. 대통령 자격으로 방문하기 때문에 실무방문을 한 대통령의 대접을 외국에서 받으며 회담 형식도 물론 정상간 회담하는 형식을 취하는 것이 외교 의전 관례다. 자리 배치의 경우도 상석과 하석을 따로 두지 않고 나란하게 상석을
남북정상회담 추진의 대가로 이번에도 한국이 북한에 비밀자금 제공을 논의했을 것이라는 일본 언론의 분석이 나왔다.한국 언론에서는 사실상 검열되고 있는 이번 남북정상회담 성사의 이면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자연스런 의구심을, 결국 일본 언론이 대신 나서서 드러내주고 있는 형국이다. 일본 ‘다이아몬드・온라인(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은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일본대사의9일자 기고문 ‘북조선은 남북회담으로 인해 정말로 변한 것인가? 전 주한일본대사가 분석(北朝鮮は南北会談で本当に変わったのか?元駐韓大使が分析)’에서 최근 북한 김정은이 한국과 미국을 향해 대화를 전격 제안한 배경을 분석했다. ‘다이아몬드・온라인’은 창간 100년(1913년 창간)이 넘은 일본 경제 주간지 ‘다이아몬드(ダイヤモンド)’ 지(誌)가 운영하는 웹진으로 수준 높은 칼럼과 논평으로 유명하다. 일본의 대표적인 한국통인 무토 전 주한일본대사는 2015년 12월부터 현재까지 다이아몬드 온라인에 한반도 이슈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대화 제의한 북한, “본질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 무토 전 대사는 한국 특사단이 공개한 방북 성과에 대해 “필자가 북조선과 교섭을 해본 경험에서 말하자면, 북조선은 "명확한
친문좌파 매체의 수장 격인 경향신문에서 느닷없이 손석희의 태블릿PC 조작보도 논란에 불을 지피고 나섰다. 노승일 전 K스포츠재단 부장의 입을 통해서다. 노승일은 지금 태블릿PC를 둘러싼 의혹은 손석희가 책임져야 한다고도 했다. 특히 뉴스룸의 황태자 김필준 기자는 더블루K의 핵심 실무자인 박헌영과 2016년 10월 18일 몇 주 전부터 함께 술을 마시고 다닌 사이라는 점도 폭로했다. 경향신문 박주연 기자는 노승일을 만나 인터뷰하고 ‘[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독일에서죠, 최순실 휴대폰에서 박근혜 목소리가 흘러나왔어요”’ 제하의 기사를 10일 게재했다. 노승일, JTBC 태블릿은 고영태 것 아닌데...어디서 떨어진 것인지 모르겠다 이날 노승일은 태블릿PC와 관련, 손석희를 코너에 모는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노승일은 우선 ‘JTBC 태블릿PC는 어떻게 된 것인가요. 최순실·박근혜 재판에서도 증거로 채택되지 않았고, 논란도 계속되고 있어요’라는 기자의 질문에 “JTBC 태블릿PC는 어디에서 떨어진 것인지 모르겠어요”라고 답했다. “10월27일 영태가 귀국하자마자 오산에 주차한 영태 차에 있는 짐에서 검찰에 제출할 자료를 영태더러 챙기라 했어요. 짐에 검은색 삼성
문재인 정권의 대북특사 파견을 계기로 미북간에 돌연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북폭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그러나 무력 사용에 앞서 이뤄지는 미국의 대화는 ‘양보를 위한 것’이 아니라 결과적으로 ‘명분을 쌓기 위한 것’이었던 역사가 있다. 걸프전쟁이다. 1991년도 걸프전 당시 미국은 이라크를 공습하기 전까지 전쟁 준비를 착착 진행하면서도 여러차례 유화 제스처를 보였다. 심지어 당시 조지 부시 1세(조지 H. W 부시)대통령이 직접 사담 후세인에게 국무장관 상호 방문 대화를 제의하기도 했다. 그리고 바로 다음달에 미국은 이라크를 공습했다. 공격전쟁 이전에 늘 안팎으로 대의명분을 구축하는 것이 바로 미국의 전통인 것. (관련기사 :월스트리트저널(WSJ), “선제북폭은 법적, 도덕적으로도 정당”) 걸프전은 이라크가 1990년 8월 2일 인접한 산유국 쿠웨이트를 무력침공하면서 촉발된다. 8월 3일 미국의 요청으로 긴급 소집된 유엔 안보리는 이라크군의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미국은 쿠웨이트 침공 사태 즉시 항공모함과 해병대를 페르시아만에 급파한다. 대외적으로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는 무관”하다며 언론플레이를 한다.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