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도시철도 무임승차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광주시는 무임승차 요금을 포함해 광주도시철도의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지난해 무려 370억원을 지원했다. 가뜩이나 열악한 광주시 재정상태가 광주도시철도의 적자를 보전하느라 더욱 악화하고 있는 셈이다.
무임승차 손실액을 부담해야 하는 광주시의 재정악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어 ‘교통복지’ 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의원(새누리당)이 발표한 ‘전국 지하철 무임승차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하철 총 승차인원 1804만1000명 가운데 무임승차 인원은 32.5%인 830만7000명(7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7개 지하철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다. 전국 평균은 15.4%로, 광주지하철과 비슷한 규모인 대전지하철도 무임승차율은 21.0%에 그쳤다.
광주지하철 무임승차율이 이처럼 높은 것은 지하철 이용승객은 적은 반면 무임승차가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과 국가 유공자, 5ㆍ18유공자, 장애인 등의 지하철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광주도시철도 관계자는 “광주지하철은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되고 있는데다 전체 구간이 20.5㎞에 불과해 이용승객 자체가 적다”며 “그러나 무등산을 비롯해 전통시장인 양동ㆍ남광주시장, 전대ㆍ조대 병원 등 노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을 상당수 경유하고 있어 무임승차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국 최고수준의 무임승차비율과 저조한 이용률은 광주도시철도공사의 경영난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가뜩이나 열악한 광주시의 재정난을 부추기고 있다.
광주도시철도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도시철도공사를 운영하면서 들어간 비용은 감가상각비 353억원, 인건비 278억원, 위탁수수료 109억원, 무임승차 요금 70억원, 동력비 46억원 등 총 873억원이다. 그러나 지난 한 해 수입은 운송요금 108억원, 임대수익 29억원, 광고수익 7억원 등 140억원에 그쳐 결과적으로 73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