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핵 6자회담 5차 3단계회의 참석한 각국 대표들 |
(베이징=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8일 오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개막된 북핵6자회담 5차 3단계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왼쪽부터) 크리스토퍼 힐 미국측 수석대표, 김계관 북한측 수석대표, 천영우 한국측 수석대표,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측 수석대표, 우다웨이 중국측 수석대표,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측 수석대표. leesh@yna.co.kr/2007-02-08 20:04:58/ |
북핵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현지시간 8일 밤 참가국들에 제시한 '합의문서' 초안에서 9.19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5개 워킹그룹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
또 합의문서 초안은 A4 용지 1장 분량으로, 9.19 공동성명과 비슷한 항목을 담고 있으며 핵폐기 초기이행조치와 상응조치를 '동시행동' 원칙에 따라 배열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안은 구체적 조치를 세부적으로 담기보다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해졌지만 핵폐기 초기이행조치와 상응조치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시한은 명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초기이행조치와 관련, 영변 5㎿ 원자로 등 관련 핵시설의 폐쇄(동결포함) 등 조치 내역도 포함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는 초기 이행조치와 상응조치 이행에 대한 틀을 잡고 북한과 나머지 5개국이 취해야할 조치와 관련된 구체적 내용은 이슈별 워킹그룹에서 논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복수의 현지 고위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이 합의문서 초안에서 제안한 워킹그룹은 ▲비핵화(핵폐기) ▲에너지.경제지원 ▲동북아 안보협력 ▲북.미 관계정상화 ▲북.일 관계정상화 등 5개로 구성돼있다.
특히 북.일 관계정상화 관련 워킹그룹이 포함됨에 따라 '자국인 납치문제'를 중시하며 대북 에너지 지원에 조건을 걸고 있는 일본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합의문서의 성격과 관련, 일부 국가가 공동성명으로 규정짓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참가국들은 이날 오전 10시(현지시간)부터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수석대표회의를 열어 합의문서 초안을 놓고 현안별 집중 협의에 들어간다.
특히 핵심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이 합의문서 초안에 담긴 핵폐기 초기이행조치와 상응조치의 내용을 놓고 담판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외교소식통은 "협상의 기초가 되는 합의문서 초안이 나온 만큼 북.미 양측의 협상이 구체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면서 "베를린 북.미 회동 등에서 이미 양측의 입장이 교환된 만큼 협상이 급진전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합의문서의 구체적인 `자구'를 놓고 양측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일 가능성도 높아 중국측이 당초 언급한 대로 3-4일 내에 이번 회담이 종결될 지는 미지수라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다.
한편, 북한은 전날 열린 전체회의에서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은 물론 경수로 요구도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은 "이틀째 회의에서 북한이 구체적으로 어떤 요구를 하는 지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북한측이 초기이행조치를 이행하는 대가로 중유 등 대체에너지 지원과 함께 대북 적대시 정책의 `돌이킬 수 없는' 수준의 철폐를 구체적으로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외교소식통은 전했다.
이 소식통은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등 행동으로 적대시 정책의 이행을 촉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lw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