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미중 고위급 전략적 경제대화 개막

무역불균형 해소 위한 위안화 절상 핵심이슈
폴슨 "중, 에너지.환경관련 관세 철폐 합의"



미국과 중국은 22일 워싱턴에서 무역불균형, 위안화 평가절상 등 양국간 경제문제 해소를 위한 고위급 `전략적 경제대화'를 시작했다.

미국측 수석대표로 나선 헨리 폴슨 재무장관은 이날 개막연설에서 중국측에 경제개혁을 가속화할 것을 촉구했다.

폴슨 장관은 "우리의 정책 이견은 변화의 방향이 아니라 변화의 속도"라면서 "미국인들은 열심히 일하고 혁신적인 사람들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참을성이 부족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이 부총리는 양국간 무역불균형 문제를 정치화하는 것을 경고한 뒤 양국은 무역균형을 이루도록 협조해야 하며 무역문제를 놓고 서로 대치함으로써 복잡하게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우 부총리는 "중미 무역 및 경제관계가 발전해가는 과정에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모순점들은 차분하고 적절하게 다뤄져야 한다"면서 "무역과 경제이슈를 정치화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고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우 부총리는 또 "우리는 상대국의 국내문제를 이유로 상대국을 쉽게 비난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 상원 재무위 소속 의원 21명은 지난 18일 우 부총리에게 서한을 보내 이번 회의에서 양국간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해 "의미있는 약속"을 해줄 것을 요구했다.

의원들은 서한에서 ▲위안화 변동폭 확대 및 위안화 평가절상 ▲지적재산권 단속 강화 ▲세계무역기구(WTO) 약속 이행 ▲미국산 수입농산물에 대한 비과학적인 제약해소 등을 구체적으로 주문했다.

의원들은 특히 중국당국이 중국제품의 수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위안화를 평가절하하고 있다며 작년 2천320억달러로 눈덩이처럼 불어난 대중 무역적자의 주원인을 위안화 평가절하 탓으로 돌리며 중국측을 비난했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폴슨 장관이 한 인터뷰에서 미국의 무역역조 시정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이 최고 16%에 달하는 에너지와 환경기술분야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로써 중국 기업들이 미국으로부터 용이하게 환경친화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됐고 미국 기업들은 중국에 수출을 늘려 양국간 무역역조를 시정하는데 도움을 받게됐다고 보도했다.

폴슨 장관은 또 금융서비스 분야에서도 '업적'이 이뤄졌다면서 중국은 일부 은행에 대한 외국 지분을 25%에서 상향조정하는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국은 23일 회의 폐막과 함께 합의내용을 정리 발표할 예정이며 이 내용에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청정석탄' 연구 협력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대 현안인 위안화 절상 문제에 대해선 양국의 입장이 워낙 커서 진전을 이루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은 중국측에 위안화가 지나치게 저평가 돼있다며 위안화 시세를 시장에 맡길 것을 촉구하고 있으나 중국측은 저평가에 일부 동의하면서도 환율 조정은 점진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맞서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bingsoo@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