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내년 4월 완공 예정인 국립광주과학관에 대한 감사원 감사결과 국립광주과학관 운영비 손실액이 2013년도 84억 6천만원, 2014년 88억 100만원, 2015년 91억 5천만원으로 매년 80~90억원 예상됐다.

정희곤 광주시의회 교육의원이 6일 예결위에서 “감사원에서 국립광주과학관의 경우 타당성 검증을 하지 않고, 총사업비 적정 여부만 검토한 뒤 사업을 추진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꼬집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감사원 보고서대로라면 손실액의 60%는 정부가, 40%는 광주시가 부담하기로 해 광주시는 2013년 33억 8천400만 원, 2014년 35억 2천만 원, 2015년 36억 6천만 원을 재정에서 부담해야 한다” 며 "내년 4월 개관을 앞두고 정부가 손실액 전액을 부담하든가 광주시의 손실액 부담 비율을 낮추든지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감사원 감사결과 보고서상의 지적사항은 국립대구ㆍ광주과학관이 ‘총사업비 관리지침’에 따른 사업타당성 검증대상 사업인데도 타당성 검증을 하지 않고 총사업비 적정 여부만 검토한 뒤 사업을 추진했다는 내용으로 기획재정부장관을 상대로 주의를 촉구한 사항”이라며 “마치 우리시를 상대로 감사지적한 사항인 것 처럼 하는 것은 사실과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광주시는 “감사원 감사결과 보고서상의 국립광주과학관 운영비 손실액의 경우, 과학관운영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결과 운영비 예상액이며, 현재 우리시와 대구시 공동으로 기획재정부와 국회 예결위 심의과정에 전액국비로 운영되어야 함을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덧붙여 광주시는 “따라서, 운영비는 우리시와 대구시가 함께 기재부와 협의할 사항으로 당장 우리시가 운영비를 부담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라며 “그럼에도 마치 그런 것 처럼 보도된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