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박주선 의원, "반환미군기지 환경오염 치유예산 900억 여원 미집행"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반환받은 부지에 대한 환경오염 치유예산이 900억원 넘게 집행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무조정실에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박주선 의원(광주 동구)에게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2008년∼2012년 반환미군기지 환경오염 치유예산 3,040억여 원 중 집행된 예산은 2,149억 여원으로 68.4%에 그쳤다. 미집행된 예산은 이월ㆍ불용 등 총 891억 여원으로 29.3%에 달했다.

국무조정실은 예산 불용사유로 2011년의 경우 반환예정이었던 캠프 롱, 부산 DRMO, H-805에 대해 SOFA 환경분과위에서 환경조사 및 치유수준에 대해 여전히 협상중이어서 관련 예산이 불용처리됐다고 밝혔다.

또한 예산 이월 사유로 △’10년~’11년 : 주특회계 세입 결손에 따른 사업자금 부족, △ ’09년 : 문화재 조사와 지장물철거(’09. 2 ~ ’11. 7)로 인한 정화공사 착공(’09. 9) 지연이라고 밝혔다.

박주선 의원은 “용산미군기지에서 지난 12년간 발암물질이 포함된 기름이 한강으로 유출되고 있는 등 기름과 중금속으로 오염된 미군기지 정화작업이 늦어지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지하수와 토지 오염은 확산되고 있다.”면서, “당초 2011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던 미군기지 이전사업을 2016년으로 연기한 이유가 기지이전비용이나 환경오염 치유비용 등 비용분담 문제 때문은 아닌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박 의원은 “부산 DRMO(미군폐기물처리장) 등 5개 기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수년째 협의 중에 있는 등 2011년 이후 반환받은 미군기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기지반환 협상을 책임지는 외교부는 오염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미국이 신속히 환경오염을 치유토록 하는 등 신속히 기지 반환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미군으로부터 반환받기로 했던 80개 미군기지 가운데 지금까지 반환받은 기지는 49개 기지이며, 용산기지와 동두천ㆍ의정부 기지 등 31개 기지는 2016년까지 반환될 예정이다.

반환된 49개 기지 중 국내 환경오염기준을 초과한 기지는 25개소로서, 이 중 17개 기지는 지자체에 매각되어 농어촌공사(8개소, 778억원)ㆍ환경공단(8개소, 944억원)ㆍ부산시(1개소, 143.5억원)에서 오염정화작업을 실시했으며, 나머지 8개 기지는 군 활용(6개소), 국토부(2개소)에서 오염정화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