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美 인사 발빠른 행보..6자회담 재개 조짐

北, 'BDA 해법' 수용시 6자 프로세스 곧 정상화
`60일 시한' 넘길 경우 불능화 조속추진 방침

방코델타아시아(BDA) 송금지연 사태로 한동안 주춤했던 6자회담이 조만간 정상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의 고위인사들이 잇따라 북한 방문과 동북아 순방에 나서면서 북한측의 태도변화가 주목되고 있다.

먼저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8일(현지시간)부터 일본과 한국, 중국을 잇따라 방문한다.

힐 차관보의 3국 방문은 북한의 선택만을 기다리고 있는 BDA송금 문제의 최종 해결을 모색하는 한편 BDA 문제 해결 직후 `2.13 합의' 이행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8일 힐 차관보의 순방과 관련, "BDA 문제가 마무리 국면이라 볼 수 있는 만큼 6자회담의 모멘텀을 살리려는 목적과 BDA 문제의 최종 해결을 촉진하려는 목적이 다 있다고 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마지막 행선지인 베이징에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과 만나 양자협의를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김 부상이 베이징으로 올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 경우 BDA 문제를 최종 매듭짓는 한편 6자회담의 조기 재개도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와 김 부상이 회동할 경우 BDA문제 외에도 북.미 관계정상화와 관련된 실질적인 협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BDA 해법과 관련, 미국과 중국 등은 그간 추진돼 온 중국은행을 경유한 제3국 은행으로의 이체 방안이 대외 신인도 하락을 염려한 중국은행의 거부로 어려워지자 BDA 내에 새로운 북한계좌를 만들고 BDA를 당분간 존속시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 북측에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빌 리처드슨 미 뉴멕시코주 주지사와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국.일본담당 보좌관도 8일부터 방북 일정에 착수했다.

특히 이들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김 위원장 면담 여부를 차치하고 이번 방북단에 6자회담에 관여해 온 백악관 당국자인 차 보좌관이 포함된 만틈 평양에서 북한 당국자들과 6자회담 등 현안에 대해 논의하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BDA 해법 마련 등이 순조롭게 전개될 경우 `60일 시한'인 오는 14일 전에 6자회담을 개최, 초기조치 이행절차를 협의한 뒤 곧바로 핵시설 폐쇄조치를 시작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한 정부 당국자는 "6자회담 재개 일정은 북한의 선택에 따라 결정날 것"이라면서 "현재로서는 낙관도 비관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한국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은 `2.13합의' 이행에 대한 북한측의 정치적 의지가 여전하며 특히 BDA 문제로 초기조치 이행이 다소 늦어지더라도 핵시설 불능화를 조속히 추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소식통은 "2.13 합의 초기조치 이행시한(14일)에 지나치게 집착할 필요가 없다"면서 "6자의 정치적 의지를 다시 다지는 한편 폐쇄.봉인보다 더 중요한 조치인 불능화를 조속히 추진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