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일본계 미 상원의원, 위안부결의안 저지 서한

이노우에 의원, 하원 외교위원장 등 3명에게
"위안부 결의안, 미일관계 손상 우려"...자제 촉구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의 종군위안부 강제동원과 관련,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미 하원 외교위원회에 계류중인 가운데 일본계 원로 상원의원이 하원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결의안 처리를 자제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 의회에 정통한 소식통은 26일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민주당 소속인 대니얼 이노우에 상원의원(하와이주)이 종군위안부 결의안을 심의.처리하는 하원 외교위의 톰 랜토스 위원장과 에니 팔레오마베가 동아태환경소위원장, 결의안을 낸 마이클 혼다 의원에게 최근 서한을 보냈다"고 말했다.

지난 1962년 상원의원이 된 뒤 45년간 연속 8번째 당선된 이노우에 의원은 미 상원에서 3번째 다선의원으로 의회내에선 `일본계 정치인의 대부'로 통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의원이다.

이 소식통은 "이노우에 의원은 서한에서 일본 정부가 이미 위안부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했으며 위안부 결의안이 미일관계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면서 "의원들에게 위안부 결의안 처리를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노우에 의원은 또 서한을 보내면서 이 서한이 공개될 경우 미칠 파장을 우려, 철저하게 비밀을 유지할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노우에 의원은 특히 서한에서 40여년간 정치를 하면서 상원 의원인 자신이 하원 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는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하며 의원들의 협조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 의회에서 특정의안을 놓고 의원들끼리 협조를 구하는 일은 많이 있지만 의안을 처리하지 말도록 요구하는 것은 흔치 않으며 특히 상원의원이 하원의원에게 서한을 보내면서까지 협조를 구하는 것은 아주 이례적이다.

이 소식통은 "하원 외교위에서 위안부 청문회 이후 결의안 처리에 탄력이 붙었다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방문 이후 처리로 늦춰진 것도 이노우에 의원의 입김이 상당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노우에 의원이 서한에서 지적한 위안부결의안의 문제를 자세히 뜯어보면 일본 정부의 논리와 매우 유사하다"면서 "일본 대사관이 서한 작성에 깊이 관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일본 정부가 미 의회에서 공화당이 다수일 때는 로버트 마이클 전 의원을 내세워 의원들을 상대로 위안부 결의안을 저지하기 위해 로비를 벌이다가 `인권'을 강조하는 민주당이 다수당이 되자 이노우에 의원을 전면에 내세워 위안부 결의안 저지에 나선 것 같다고 관측하고 있다.

한편, 혼다 의원은 이노우에 의원의 서한에 대해 위안부 문제는 미일간의 외교문제가 아니라 역사에 희생된 여성 권익문제이며, 미일 관계를 손상시키는 게 아니라 더 공고히 할 것이라는 내용의 답신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연합뉴스) bingsoo@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