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경의.동해선 열차 시험운행에 따르는 군사적 보장 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제5차 남북장성급회담에서 우리 측에 대규모 군사훈련 중단을 강하게 요구하며 대화 상대방을 적으로 규정하지 말라고 촉구했다고 북한 조선중앙방송이 9일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판문점에서 전날부터 시작된 이번 회담에서 북측 김영철 수석대표는 "쌍방 합의는 안중에도 없이 대화 상대방을 미국과 남조선의 공동의 적으로 규정하는 것과 같은 처사에 절대로 매달리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화 분위기에 맞지 않고 외세와 공조해 동족을 반대하는 대규모 전쟁 연습을 벌이고, 해외에서 침략 무력을 끌어들이는 것과 같은 모든 대결 소동을 전면 중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는 그동안 되풀이 해 온 한미 군사훈련 중단을 거듭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특히 "민족중시는 우리 겨레가 철저히 견지해야 할 기본입장"이라며 "동족의 정상적인 미사일 발사훈련이나 자위적인 핵시험을 트집잡아 약속한 대화마저 서슴없이 차단하는 망탕짓을 한다면 그것은 벌써 민족중시의 입장에서 물러난 것으로 된다"고 강조했다.
또 "남측의 미사일 개발이나 발사훈련, 동족을 과녁으로 삼은 외세의 핵전쟁연습은 문제가 없고 제 나라 제 민족을 지키기 위한 동족의 의로운 소행은 반평화적이라며 안보불안 행위로 몰아붙이는 논리야말로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남북 간에 이미 합의된 군사적 합의 이행 대책을 거론하며 "남측은 삐라 살포나 통행질서 위반, 해상 침범과 같은 불미스러운 행위들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현실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그는 남북 경제교류 활성화에 따른 군사적 보장 조치 문제와 관련, "북남 사이에 진행하는 협력교류에 어떤 정략적인 속타산도 없고, 그것이 철두철미 상부상조의 원칙, 공영 공리의 원칙에 기초해 진행되는 것이라면 우리 군대는 언제든지 군사적 보장 대책을 제때에 따라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가 바라는 협력 교류는 민족의 공영 공리를 도모하고, 나라의 평화와 통일에 이바지하는 협력교류이지 그 무슨 개혁과 개방, 그 누구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협력 교류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해 충돌방지 및 공동어로 방안과 관련, "이 문제를 하루 빨리 매듭짓는 것은 서해 해상 충돌의 근원을 뿌리 빼고, 서해 바다를 민족번영의 바다로 만드는 민족사적 사변으로 될 것"이라면서 "더욱이 조선반도 평화체제 수립 문제가 일정에 오른 조건에서 북남 군 당국자들이 이 문제를 먼저 해결한다면 온 겨레는 물론 전 세계가 환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j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