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 대통령도 청계천 복원으로 전국적 지명도 얻어"



(서울=연합뉴스)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토록 한 교토의정서에 서명하지 않는 등 환경 정책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아온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그런 부시 대통령이 임기를 불과 1년도 남기지 않은 지금 태도를 바꿨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16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부시 대통령은 또 자동차 연비 기준을 상향조정하는 법안에도 서명했다.

부시 대통령이 태도를 바꾼 것은 바로 여론 때문.

'퓨 글로벌 애티튜드 프로젝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인의 37%는 지구촌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로 환경문제를 꼽았다.

공화당의 존 매케인 상원의원을 비롯해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 등 미국의 대선주자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친환경 공약을 내걸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 뿐만이 아니다.

퓨 글로벌 애티튜드 프로젝트에 따르면 서유럽인의 45-66%는 환경문제가 가장 큰 위협이라고 답했다. 환경문제를 가장 큰 위협으로 꼽은 중국인은 70%에 달했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인터넷판은 26일 '새로운 환경 지도자(The New Green Leaders)'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환경문제가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지도자가 각광을 받는 시대가 됐다고 보도했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와 앙겔라 메르켈 총리 등은 친환경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기후변화가 주요 의제가 될 G8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일본의 후쿠다 야스오 총리도 환경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뉴스위크는 전했다.

뉴스위크는 또 이명박 대통령 역시 환경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청계천 복원을 예로 들면서 이 대통령이 정치인으로서 전국적인 지명도를 얻게 된 것은 서울 시장 재임시절 서울을 친환경 도시로 만들려는 노력 덕분이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의 53%는 환경보호가 개발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뉴스위크는 환경을 도외시한 채 경제성장만 쫓아온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도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들을 잇따라 발표했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의 과학.기술.공공정책프로그램의 존 홀드런은 "기후 변화는 우리 시대 최고의 환경문제"라면서 기후 변화가 서구 산업화의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던 개발도상국들도 기후 변화가 자국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yunzhen@yna.co.kr

(끝)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