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29일 열린 국회 문화관광위 전체회의에서는 "이전 정부의 기관.단체장들은 자리에서 물러나는 게 도리"라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발언이 뒤늦게 도마 위에 올랐다.
통합민주당 이광철 의원은 "문화예술이 삶인 사람이 장관으로 왔는 데 첫 일갈이 홍위병으로 비치는 장관이었다"면서 "공공기관법을 어기는 불법을 하려 하지 말고 기관장들의 임기를 보장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여전히 정권이 바뀌어도 코드인사를 하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같은당 윤원호 의원은 "청문회때 기관장들의 잔여임기를 보장할 것이냐고 물었고 긍정적 답변을 얻었다"면서 "그러나 2개월간 과정을 보면 청문회 때 소신 발언과는 다른 쪽으로 갔다. 더 이상의 악역은 옛날 팬으로서 안했으면 좋겠다"고 가세했다.
조배숙 문광위원장도 "대한민국은 법치주의 국가이고 산하기관장의 임기는 법에 보장돼 있다"면서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 취임시 전임 정권 단체장에게 스스로 사퇴하라고 촉구한 적이 없는 데 이런 부분에 대해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의원들은 특별한 언급을 피하며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다만 정병국 의원은 "지난 정권에서 일부 편향된 사람들이 단체장이 돼 왜곡된 부분은 바로 펴야 한다"면서 유 장관 발언의 근본 취지를 옹호하면서 "다만 이 과정에서 우편향으로 치우쳐 이념대립 양상으로 가서는 안 된다. 문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이뤄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유 장관은 "한 번 단추가 잘못 꿰어지니까 걷잡을 수 없이 다른 방향으로 불똥이 튀었다"면서 "처음 시작하며 시작된 몇 마디가 많이 확대됐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지난 총선 기간 지역구 초등학교 교감에 대한 폭언 보도로 논란을 빚은 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특정 일간지를 직접 거명, 비판했다. 그는 한 일간지 연재소설의 선정성을 비판한 데 대한 정치보복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kyunghee@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