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29일 올림픽홀에서 2년 만에 내한공연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색소폰의 마술사' 케니 지(Kenny Gㆍ52)는 무대 위가 아닌 객석 가운데에서 등장했다. 무대 맞은편 객석 중간 부분에서 색소폰을 들고 불쑥 모습을 드러낸 그는 열렬히 환호하는 관객에게 손을 흔들고 인사를 하며 첫 곡 '홈(Home)'을 연주했다.
관객의 눈높이에 맞춰 즐거움을 주겠다고 작심한 듯 그는 두 번째 곡 '실루엣(Silhouette)' 때도 무대 위로 올라가지 않았다. 공연장 가운데 플로어로 내려온 그는 객석 의자 위에 올라선 후 관객에게 고르게 시선을 던지며 아름다운 연주를 이어갔다.
어렵고 딱딱한 음악보다는 쉽고 달콤한 멜로디로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는 그의 음악 스타일이 제대로 반영된 듯한 무대였다. 29일 오후 8시10분부터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펼쳐진 그의 2년 만의 내한공연이다.
그는 아티스트로서 자신의 음악에 취하기보다 관객의 기분을 배려한 모습을 보였다. '실루엣' 후반부에서는 5분여 동안이나 계속해서 색소폰의 음을 이어가는 재미있는 '기술'을 선보여 박수를 받기도 했다.
케니 지는 "색소폰을 불면서 동시에 코로도 숨을 쉴 수 있다"면서 호흡 긴 연주의 '비밀'을 밝혔다. 그는 무려 45분47초 동안 색소폰의 음을 끊지 않고 부른 기록을 갖고 있다.
검은색 바지에 흰 셔츠차림으로 등장한 그는 은은한 와인빛 조명 아래에서 감미로운 연주를 이어갔다. '하바나(Havana)' '고잉 홈(Going Home)' '다잉 영(Dying Young)' 등의 히트곡을 전했다.
사실 이날 공연은 색소폰 위주의 공연이라 단조로워질 가능성이 있는 무대였다. 하지만 케니 지는 다양한 퍼포먼스와 유머를 도입해 웬만한 그룹 공연보다 더 많은 볼거리를 전했다.
밴드 멤버의 솔로 무대가 좋은 예였다. '하바나' 연주에 이어진 퍼커션 연주자의 솔로 무대에서는 서커스 기술을 방불케 하는 역동적인 동작이 눈길을 끌었고, 공연 후반부에 선보인 베이스 연주자와 건반 연주자의 솔로 무대도 객석의 분위기를 띄우기에 충분했다. 퍼커션 연주자와 케니 지가 펼친 주고받는 식의 즉흥 연주 대결도 인상적이었다.
한국에서 유독 인기가 높은 그는 그동안 갈고닦은 한국어 실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서툴지만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 사랑합니다" "이제 여러분에게 다음 곡 '하바나'를 연주해드립니다" "이제 영어로 말할게요" "공연 후 앨범 사인을 해 드리겠습니다" 등의 코멘트를 메모를 보지 않은 채 직접 한국어로 말했다. 모든 문장을 말할 때마다 골똘히 생각을 한 후 단어를 이어가는 노력을 드러냈다.
신작 '리듬 & 로맨스(Rhythm & Romance)' 삽입곡인 '리듬 & 로맨스' '베사메 무초(Besame Mucho)' 등 4곡을 연주한 후 공연은 절정으로 달려갔다. '왓 어 원더풀 월드(What A Wonderful World)'에 이은 '더 워크(The Walk)'로 정규 공연의 막이 내렸다.
앙코르 요청을 받고 무대에 오른 그는 아리랑의 테마를 잠시 연주한 후 '카덴차(Cadenza)'로 숨을 골랐다. 이어 히트곡 '송 버드(Songbird)'와 팝송 '마이 하트 윌 고 온(My Heart Will Go On)'에서 은은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선보이며 대미를 장식했다.
cool@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