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봄이 되면서 화창한 날씨의 유혹에 이끌려 야외로 나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연약한 피부. 특히 조심해야 할 것이 바로 피부 질환이다. 여름 햇볕에만 피부가 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름 못지않게 피부를 괴롭히는 계절이 바로 봄이다.

이 시기에는 자외선, 황사, 꽃가루 등으로 인해 여드름, 기미, 주근깨, 주름은 물론 피부염과 알레르기까지 발생하기 쉽다. 그렇다고 화창한 봄날을 실내에서 웅크리고 보낼 수 만은 없다. 토마토클리닉 최성우 원장의 도움을 통해 피부의 '적'들과 당당히 맞설 수 있는 봄철 피부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자외선 차단
봄철 자외선은 여름철 자외선보다 피부에 더 치명적이다. 겨울철의 약하고 적은 자외선에 익숙해 있다가 갑자기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외출 시 모자나 양산,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하루 두 번, 아침과 오후 2시쯤 충분히 발라주도록 하며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 경우에는 다시 사용하는 편이 좋겠다. 또 기미, 주근깨 등 색소 침착 질환을 막기 위해선 비타민 C, 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세안
봄철엔 여드름을 비롯한 염증이나 가려움증 등 피부 질환이 생기기 쉽다. 겨울 동안 닫혀 있던 피부 땀샘과 피지선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땀과 기름, 피지 분비가 많아지고 먼지나 황사, 꽃가루, 각종 외부 유해 물질 등에 노출되는 빈도도 높아져 피부가 쉽게 더러워지기 때문이다.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선 외출 후 반드시 얼굴을 씻어 모공을 막고 있는 각종 노폐물과 찌꺼기를 씻어내야 한다. 이때 강한 비누로 세게 문지르는 것보다 자극 없는 세안제를 사용, 깨끗하고 미지근한 물로 여러 번 헹궈내는 게 좋다.

▷수분 공급
봄이 되면 얼굴이 땅기고 각질도 일어나며 거칠어진다. 땀과 기름이 피부 보호막을 만드는데 봄에는 바람이 많이 불어 기름성 보호막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선 인위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보습제나 화장품 등을 사용, 피부의 수분 손실도 막아야 한다.

▷ 피부치료도 한 방법

평소에 철저한 관리를 하여도 좋아지지 않을 정도로 피부가 손상됐다면 치료의 범주에서 생각해볼 필요도 있다. 피부재생 치료는 IPL, 레이저토닝, PRP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이 치료들은 주로 피부의 콜라겐을 자극해 피부의 탄력을 주는 치료방법인데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PRP(Platelet rich plasma)피부재생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PRP치료는 국내에서 '예뻐지는 피주사'라는 별칭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자신의 혈액을 특수 처리 후 원심 분리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일반 혈액보다 혈소판이 풍부하게 응축되게 만든 혈장 성분이다. PRP는 자기혈액에서 추출한 혈소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나 사후관리에 대한 부담이 덜할뿐더러 자연스럽게 피부가 좋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도움말- 토마토클리닉 최성우 원장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