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미 금융기관들에게 북한의 불법자금을 돈세탁한 혐의를 받아온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과의 거래를 전면중지토록 한 데 대해 중국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BDA 제재 해제방안을 마카오 당국 및 BDA와 집중 협의할 계획인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재무부 몰리 밀러와이즈 대변인은 이날 연합뉴스와 이메일 인터뷰에서 "글레이저 부차관보가 이끄는 재무부 대표단이 17일 마카오 당국과 만나 미 애국법 311조에 의거해 재무부가 BDA에 대해 취한 조치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밀러와이즈 대변인은 특히 "이번 논의의 초점은 재무부의 최종 결정에 대한 이행문제와 함께 미 재무부가 이번 결정의 해제를 검토하도록 하기 위해 마카오 당국과 BDA가 취할 조치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스튜어트 레비 재무부 테러및 금융정보차관은 지난 14일 BDA 제재조치를 발표하면서 "이번 조치는 처벌을 위한 게 아니라 국제금융시스템을 보호하려는 것"이라면서 "BDA가 책임있는 소유자의 통제를 받고 책임있는 경영을 하며, (불법 활동을 막을 수 있는) 개혁조치를 취하면 BDA 제재조치를 해제하는 문제를 30일 이내라도 기꺼이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선 미 재무부가 미국내 금융기관에 대해 BDA와의 모든 거래를 금지토록 하자 BDA 정상적인 금융기관으로서 활동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마카오 당국 및 중국의 금융체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제재조치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이번 조치가 6자회담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명, 미국과 중국이 BDA 제재조치를 놓고 대립하는 양상마저 보였다.
재무부의 이 같은 조치는 중국의 반발을 해소하고 북핵 6자회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분석된다.
재무부는 아직 확정이 되지는 않았지만 글레이저 부차관보가 마카오 당국과 협의를 마치면 베이징을 방문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bingsoo@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