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최측근인 김양건 국방위 참사를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에 임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전부장 자리는 김용순 부장이 2003년 10월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지난해 초 림동옥 부장이 이어받았으나 림 부장마저 8월에 폐암으로 사망한 이후 공석이었다.
대북 소식통은 4일 "김양건 참사가 지난달 중순 대남정책을 총괄하는 통일전선부장에 임명된 것으로 안다"며 "공석이었던 통전부장이 확정됨에 따라 남북관계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셈"이라고 밝혔다.
김 신임 통전부장은 당 국제부에서만 외길을 걸어온 외교관료로 97년 2월 황장엽 전 노동당비서의 한국망명으로 당시 국제부장이었던 현준극이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질되자 후임으로 부장에 임명됐다.
2005년 정동영(鄭東泳) 당시 통일부 장관과 김 위원장의 6.17면담에 연형묵 국방위 부위원장과 함께 배석하면서 국방위 참사임이 확인됐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최측근이라는 평가가 나왔었다.
김 참사는 북.일우호촉진친선협회장을 지내 일본문제에도 해박할 뿐 아니라 당 국제부장 자격으로 중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고 2001년 김정일 위원장의 비공식 중국 방문도 수행하는 등 중국 공산당측 인사들과도 교분이 깊은 북한의 대중국통으로 통한다.
특히 그는 핵문제로 미국과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국방위원회에서 6자회담을 조율하고 김 위원장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현재 한반도 정세에도 해박하다는 후문이다.
북한의 대남정책을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통일전선부에 김 위원장의 최측근이면서 주변정세에도 밝은 김 부장이 임명됨에 따라 앞으로 남북관계 현안에 대한 김정일 직보라인을 갖추게 됐으며 국제정세와 조율된 가운데 남북관계를 풀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김 부장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도 겸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으나 김용순 전임 부장도 조평통 부위원장에 그쳤다는 점에서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소식통은 "북한의 대남정책은 노동당의 통일전선부에서 만들어지고 집행되는 만큼 김양건 부장의 조평통 위원장 겸임여부는 중요치 않다"며 "김용순 전 비서 등의 전례로 비춰볼 때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