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복사(萬福寺) 안 동쪽에 자리한 한 그루의 배나무. 어느 봄날 밤 활짝 핀 배나무 밑을 오가며 낭랑한 목소리로 시를 읊는 양생은 아름다운 사내다. 부모 없이 천애 고아로 절간 방 한 칸 얻어 홀로 살아온 외로운 처지이나 반듯하다. 심란한 세상, 천지간 혼자인 외로움은 자연히 짝을 그리게 된다. “그대가 참으로 아름다운 짝을 얻고 싶다면 어찌 이뤄지지 않으리라고 걱정하느냐?” 공중에서 들리는 누군가의 따뜻한 목소리. 이 맘 때 양생이 사는 마을에서는 만복사에 등불을 밝히고 복을 기원하는 풍속이 있었는데, 남녀들이 모여 저마다 소원을 빌었다. 때는 삼월 이십사일, 법회가 끝나고 사람들이 드물어지자 양생은 대웅전에 나아가 부처와 저포(摴蒲-윷놀이와 비슷한 게임)놀이 내기를 한다. 부처에게 이겼다고 득의양양한 양생은 부처에게 배필을 점지해 줄 것을 단단히 약속을 걸고 불상 뒤로 숨어 인연이 나타나기를 기다린다. 이윽고 나타난 열대여섯쯤 된 아리따운 아가씨. 그녀의 하소연을 들은 양생은 연정의 마음을 숨기지 못하고 그녀 앞에 자신을 드러낸다. 양생은 천상의 선녀 같기만 한 아름다운 이 여인과 세속의 시간 3년에 해당하는 꿈같은 3일을 보낸다. 서로를 갈
매월당 김시습 첫 한문소설 ‘금오신화’ 중 ‘만복사저포기’를 원작으로 탄생한 창작극 ‘사랑애몽’(작/연출 홍석환, 작곡 홍정의)이 첫 공연(22일)을 앞두고 공연가 등 안팎으로부터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 김승기 사무총장은 “만복사저포기에 많은 내용이 담겼는데 공연극으로 만들어지고 이슈화되어 매월당 선생 일대기가 저변에 많이 알려지면 더 바랄게 없다”며 “공연에도 관심이 많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작품 속 배경인 남원시청 관계자는 “만복사저포기의 남원시는 문화관광도시이자 국악의 성지로, 다양한 전통국악 공연이 열리는 곳”이라며 “공연을 통해 남원시가 더 잘 알려지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랑애몽’은 남원에 사는 양생이라는 노총각과 높은 신분의 여인이 맺어진다는 이야기다. 양생이 신비로움을 간직한 아름다운 여인과 시공간을 초월해 강렬한 사랑을 나누는 러브스토리이다. 그러나 여인의 정체는 죽은 원혼이었던 것. 한국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할리우드 영화 ‘사랑과 영혼’, 홍콩 영화 ‘천녀유혼’과 비슷한 소재로 친숙하다. 원작 ‘만복사저포기’는 유·불·선 동양 철학 가치관이 작품 전체를 관통하고 있다. 또, ‘사랑애몽’을
22일 개막을 앞둔 극단 거목의 야심작 공연 소식이 알려지면서 공연계와 문학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특히 이 매월당 김시습 첫 한문소설 ‘금오신화’ 중 ‘만복사저포기’를 원작으로 한 창작극이라는 점에서 고전문학을 비롯한 전통문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김시습은 조선 전기를 풍미한 천재 문인으로 세조가 조카 단종의 왕위를 탈취하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사람, 즉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공연소식에 김시습 연구단체들도 반색하고 있다. (사)매월당문학사상연구회 김승기 사무총장은 “만복사저포기에 많은 내용이 담겼는데 공연극으로 만들어지고 이슈화되어 매월당 선생 일대기가 저변에 많이 알려지면 더 바랄게 없다”며 “공연에도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만복사저포기’는 전라도 남원 땅 양생이라는 보잘 것 없는 노총각과 계급 높은 귀인의 딸이 맺어진다는 이야기로, 인간 양생과 죽은 원혼인 여인의 시공간을 초월한 러브스토리다. 계급의식이 투철했던 조선의 가치관을 뛰어 넘는 자유연애란 파격적 소재와 인간과 귀신이 사랑을 나눈다는 몽환적이고 대담한 사랑이야기다. 한편, 극단 거목 창작극 프로젝트 1탄 ‘사랑애몽’(작/연출 홍석환, 작곡 홍정의)은 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