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외교부 `늑장대응' 논란에 곤혹ㆍ신중론 교차

'사실관계' 규명이 우선...중국 선박 조사 예의 주시



"일단 냉정함을 유지하면서 사태의 진상부터 파악하자."

외교통상부 당국자들은 14일 동중국해에서 12일 새벽 발생한 골든로즈호 침몰사고와 관련, 국내 언론이 정부 당국의 `늑장대응'을 지적하며 비판적 기조를 보이자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의 조사주체인 중국 당국이 제대로 된 조사결과를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확인되지 않은 전언'이 확산되고 한국과 중국간 외교마찰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양상에 대해서는 `냉정한 대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우선 사고 발생 경위가 우리측에 늦게 전달된 과정에 대해 당국자들은 "기상이 악화된 상황에서 해상에서 선박과 선박이 충돌한 특이한 사고라는 특성을 이해해달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일이 흔히 발생하는 사고가 아닌데다 중국 당국조차 초기에 사고의 경위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는 특수성을 감안해 달라는 것이다.

한 당국자는 "어느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 보면 몇가지 허점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런 맥락에서 하는 지적에는 공감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이번 사고의 전체 상황을 생각하는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이번 사고의 발생경위와 중국측의 후속대응에 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선결과제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송민순 외교부 장관이 13일 "사실 관계가 확립이 되어야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만큼 사실 관계를 좀 더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실관계가 정확히 파악되고 나면 사고 경위가 중국에서 우리측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중국 당국의 조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응할 경우 추후 애매한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해지는 상황에 이번과 유사한 사고가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선박 충돌방지는 물론 해상구조 대책 등을 놓고 중국과 공동으로 대책을 만들어나가겠다는 것이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외교부는 그러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사고 상대방 선박인 진성(金盛)호가 과연 어떤 경위에서 사고후 선원 구조조치를 취하지 않았는 지에 대해서는 중국당국의 조사를 주시할 방침이다.

진성호가 국제규약상 반드시 취했어야 할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지, 또 그 과정에서 말 못할 다른 사정이 있는지 등을 밝혀야 형사적 처벌은 물론이고 보험처리와 보상문제 등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칭다오(靑島) 총영사관과 옌타이(煙臺) 해사당국간 핫라인을 설치해 현지 상황에 기민하게 대처할 방침이다.

한 당국자는 "현지에서는 진성호가 충돌 당시 그 사실을 모르고 다롄(大連) 항에 입항해서야 선체의 파손을 보고 충돌을 인지해 당국에 신고했다는 전언이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라며 "추후 사고처리를 위해서도 반드시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칭다오 총영사관측은 또 골든로즈호 선박과 실종선원 수색에 현지 당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15일 현지를 방문하는 실종선원 가족들의 활동을 지원하는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