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금융연구원 이장영 선임 연구위원은 27일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금융 규제.감독 강화 방안' 보고서에서 "서브프라임 사태를 계기로 금융감독 당국은 거시 건전성 감독 기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의 근본 원인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과도한 저금리 정책 지속, 감독당국의 금융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인식과 정책 대응이 늦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따라 "감독 당국은 개별 금융기관을 보는 전통적인 미시 건전성 감독에서 벗어나 금융시스템 전반의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 요인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거시 건전성 감독에 정책의 우선 순위를 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특히 금리 급등 같은 거시 경제적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가정한 금융시스템 영향 분석 모형을 정교하게 구축해야 한다"면서 중앙은행과 정보 공유, 정책 조율 등을 통해 금융시장 불안 요인에 조기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새로운 파생금융상품의 등장에 대응해 관련 리스크에 대한 건전성 감독을 철저히 하고 은행의 자본 건전성에 관한 바젤Ⅱ 감독 기준을 조속히 보완할 것을 주문했다.

sisyphe@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