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 창조한국당이 비례대표 2번으로 당선됐던 이한정씨 구속 사태의 여진이 채 가시기 전에 비례대표 3번도 공천 의혹에 휘말리면서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당이 이한정씨를 대상으로 제기한 등록무효소송이 받아들여질 경우 비례대표 3번을 배정받은 유원일 전 시흥환경운동연합 대표가 의원직을 승계하도록 돼 있지만 검찰이 유 전 대표에 대해서도 공천헌금 의혹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는 등 파문이 비례대표 공천 과정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이기 때문이다.

검찰은 유 전 대표가 총선 직전 당 계좌로 수 억원을 입금한 사실을 포착하고 수사중이다. 유 전 대표가 대선 이후 당에 낸 금액은 차입금과 특별당비를 포함, 총 4억5천만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월7일 당에 1억원을 빌려준 데 이어 3월 4∼25일 사이 3차례에 걸쳐 납부한 2억원은 당채(창조한국당 사랑채) 매입대금으로 처리됐다는 게 당 관계자의 설명. 또한 4월2일 유 전 대표의 동생이 당의 어려운 상황을 듣고 특별당비 1억5천원을 냈으나 동생이 당원이 아니어서 유 전 대표가 납부한 것으로 회계처리됐다.

유 전 대표는 국제환경회의 참석차 약 보름간의 일정으로 27일 브라질로 출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비례대표 4번인 선경식 (사)민주화운동공제회 상임이사도 올해 1월7일 1억원을 당에 빌려준 데 이어 3월9일 1억원을 특별당비로 낸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대표는 대선 때 선대위 민원실장을 지냈고, 선 상임이사는 당 고문을 맡아왔다.

이에 대해 창조한국당측은 "두 사람 모두 당을 위해 헌신해 온 고위 당직자들로 당의 어려운 재정 사정에 처하자 자발적으로 도운 것일 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문국현 대표는 이날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당이 돈이 모자르니까 많은 분들이 적게는 1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2억원씩 당에 냈다"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이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제가 관여한 게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은 알 수 없으나 국고보조금도 없는 등 당이 워낙 돌아가기 힘든 형편이다 보니 저를 비롯, 고위직 당원들이 돌아가며 도운 것이다. 대가성도 전혀 없고 개인 차원의 유용도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문 대표는 "(검찰수사가) 흠집내기라든가 억압수사 내지 짜맞추기 수사라든가, 상대방 탄압이 되는 과잉충성은 절대 안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비례대표 후보자들이 줄줄이 당에 지원자금을 납부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검찰 수사를 통해 대가성이 확인될 경우 기존 정당을 구태정치로 규정, 깨끗한 정치를 최대 무기로 삼아온 당으로서는 설상가상의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 대표가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당 지도부 총사퇴 후 재신임 카드를 던지고 조기 수습에 나섰지만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는 형국인 것.

지금까지 비례대표 후보자들이 당에 빌려주거나 특별당비 형식으로 당에 납부한 금액은 확인된 것만 이한정씨 5억9천950만원(지인 2명을 통해 매입한 당채 5억9천500만원+특별당비 450만원)을 포함, 12억4천950만원이다.

한편 창조한국당은 이한정씨가 소명서를 제출하는 대로 빠르면 28일내로 이씨를 제명 조치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hanksong@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