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정부가 베이징올림픽 성화의 국내 봉송 과정에서 유학생 등 중국인들이 격렬한 시위를 벌인 것과 관련해 중국 측에 유감을 표명, 외교문제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8일 안전한 성화봉송을 위해 한국 당국이 취해 준 협조조치에 대해 감사를 표하러 외교통상부를 찾은 닝푸쿠이 주한 중국대사에게 국내 시민단체와 중국인 유학생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한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그렇지 않아도 닝푸쿠이 대사를 불러 유감을 표명하려 했는데 닝푸쿠이 대사가 고맙다는 인사를 하러 온다고 해서 그 기회에 유감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전날 베이징올림픽 성화의 서울 봉송 행사도중 유학생 등 중국인 시위대가 중국의 티베트 정책에 항의하는 집회 참석자들에게 보도블록을 던지고 죽봉을 휘두르는 등 폭력을 행사해 경찰 등 여러 명이 다쳤다.
다른 당국자는 "베이징 올림픽 성화 봉송이 성대한 분위기 속에서 원만하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부 중국인 시위대들이 한국의 법질서를 무시하는 행동을 한 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라고 유감 표명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가 이처럼 신속한 유감 표명에 나선 것은 그렇지 않아도 티베트 사태 등으로 중국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사안이 `반중(反中) 여론' 확산에 불을 붙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부산에서 중국 총영사관 직원들이 면책특권을 내세워 경찰의 음주측정에 불응해 비난을 사기도 했다.
실제 28일 현재 각 인터넷 포털사이트에는 중국인들의 폭력시위를 질타하는 글이 넘쳐나고 있다. 아이디 '지배자'인 한 네티즌은 "세상 어느 민족이 다른 나라에 가서 그 나라 사람들과 경찰을 폭행할 수 있겠느냐"고 강조했다.
티베트 사태를 비난하는 국제 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서도 정부가 이에 대해 사실상 침묵을 지킴으로써 `너무 중국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온 점도 신속한 유감 표명의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transil@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