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와 함께 김 장관은 북한이 연락사무소 구상을 거부한 상황에서 남북대화를 언제 어떻게 재개할지와 관련, "남북대화는 북한의 반응을 봐가며 검토할 것"이라고 말해 전적으로 북한의 태도 등에 달려 있음을 시사했다.

즉 우리 측이 당장 북한에 대화를 제의하거나, 연락사무소 구상을 정식 제안하기 보다는 북핵 진전 상황과 북한의 대남 태도 등을 한동안 지켜본 뒤 대화 재개를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또 김 장관은 현 정부 대북정책인 비핵.개방 3000 구상이 북한이 핵을 완전 폐기할때 적용할 정책이 아니라 비핵화 프로세스의 진전 단계에 맞춰 가동할 정책임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는 정부의 남북 경협 관련 입장에 언급, "북핵이 폐기되고 나서 하는게 아니라 (비핵화의) 진전에 따라 단계적으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하고 "단계적으로 한다는 것은 남북간 상황, 핵문제 상황, 남북경협 4대 원칙에 따라 대규모의 지원이나 경협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특히 "그것 말고도 인도적 지원, 인적교류 사업 등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노력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북 식량 지원과 관련, "북한의 지원요청이 있을때 인도적 차원에서 검토할 용의가 있다"며 지원 요청이 있어야 지원에 나선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김 장관은 "유엔 총회에서 채택한 결의안에도 인도적 지원의 경우 수혜국이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면서 "새 정부 출범 이후 북에서 아무런 얘기가 없는데, 앞으로 그런 요청이 있으면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무소속 이해봉 의원의 북한 인권 관련 질의에 "앞으로 국제사회에서의 인권대화 등 여러 기회에 북한 인권 상황이 개선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한 뒤 `남북관계가 경색되더라도 북한 인권문제는 챙길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했다.

jhcho@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