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金통일 "남북협의 통해 실천가능 방안 검토기대"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김하중 통일부 장관이 29일 북한이 거듭 강조하고 있는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에 대한 우리 정부 입장에 미묘한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발언을 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 출석, 질의응답 과정에서 "과거 남북간 합의중에는 7.4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 6.15선언, 10.4선언도 있는데 이행되지 못한 것도 많다"면서 "우리로서는 앞으로 현실을 바탕으로 해서 상호 존중의 정신 아래 남북간 협의를 통해 실천가능한 이행방안을 검토해 나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이 발언을 두차례 더 반복, 최근 남북관계 상황을 반영한 `준비된 레토릭'이자 북한을 향한 메시지임을 짐작케 했다.

그의 이날 발언은 이명박 대통령의 3월26일 통일부 업무보고 발언과 비교할때 적지 않은 변화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일부 업부보고에서 이 대통령은 "남북기본합의서와 그 이후에 정상이 합의한 합의문이 있다"면서 "가장 중요한 기본 남북간 정신은 1991년 체결된 기본합의서의 정신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해 기본합의에 더 무게를 뒀다.

당시 대통령은 6.15,10.4선언을 부정하지 않았지만 업무보고 내내 두 합의 이행과 관련해 일체 언급하지 않았고 대신 남북기본합의를 새롭게 강조했던 것이다.

북한이 각종 매체를 통해 제1,2차 남북정상회담의 산물인 6.15와 10.4 선언 이행을 강조하며 대남 공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대통령의 3월26일 발언에 대한 나름의 해석에 기반하고 있다고 많은 이들을 보고 있다.

비록 김 장관은 6.15, 10.4 선언도 여러 남북간 합의 중의 일부이며 그것을 포함한 남북간 상당한 합의 내용들이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거론했지만 6.15, 10.4선언 역시 남북 당국간의 합의인 만큼 기본적으로 존중한다는 뜻을 이번 발언을 통해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김 장관은 6.15, 10.4 선언의 구체적인 이행 문제에 있어서는 비핵화 진전, 사업 타당성, 재정부담 능력, 국민 동의 등 `경협 4원칙'에 따라 조건부 이행하겠다는 현 정부의 기본 입장을 접지 않았다.

"현실을 바탕으로 해서 상호 존중의 정신 아래 남북간 협의를 통해 실천가능한 이행방안을 검토해 나가길 기대한다"는 김 장관의 발언은 현 정부의 새로운 대북정책 기조에 따라 합의 이행에 대한 재검토 또는 이행 속도조절, 사업 아이템의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장관 발언 중 `상호 존중의 정신'은 우리 정부도 6.15, 10.4 선언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존중하고 북한도 우리 정권 교체에 따른 정책 변화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언급으로 해석될 여지가 없지 않아 보인다.

또 눈에 띄는 대목은 장관이 `남북간 협의'를 언급함으로써 6.15, 10.4 선언 이행 문제를 놓고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대목이다.

북한은 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을 통해 이 대통령의 상주 연락사무소 설치 제안을 거부할 때 "6.15, 10.4 선언에 대한 입장을 바로 가져야 할 것"이라며 볼을 남측 코트로 넘긴 상황이라 김 장관의 남북간 협의 언급은 6.15, 10.4선언 이행 문제에 대해 북한과 허심탄회한 대화를 할 용의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는 곧 6.15, 10.4선언 이행 문제와 같은 포괄적 현안 협의를 명분으로 남북 당국간 대화 재개에 대한 북한의 의중을 떠 보는 의미도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계속)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