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힐과 김계관
나흘째 협상서 접점 못찾아..12일 담판결과 주목

'초기조치-상응조치' 쟁점 둘러싸고 팽팽한 신경전

한국 '공동분담' 원칙속 '주도적 역할' 시사



남북한과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북핵 6자회담 참가국은 11일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수석대표 회동과 다자 및 양자접촉 등 다양한 협상을 벌여 핵심쟁점을 놓고 집중 협의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특히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와 러시아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외무차관 등이 "내일이 회담의 마지막 날이 될 것"이라고 말해 12일 회의에서도 구체적 성과가 없을 경우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북한측도 12일 협의에서도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베이징(北京)에서 철수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수석대표 회동에서 내일까지 협상을 열심히 해보자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북한측은 중국이 합의문 초안에 제시한 관련 핵시설의 '동결.폐쇄.봉인'을 수용하는 대가로 1994년 제네바 합의 당시 보상조치의 일환으로 제공했던 중유 50만t보다 `훨씬 많은' 규모의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지 않았다면 현재 가동을 할 수 있었을 경수로 2기(200만㎾)에 대한 보상조치도 에너지 지원량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관성있는 수치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나머지 나라들은 북한측 주장이 '비합리적'이라며 북한을 설득하고 있으나 북한은 자신들의 논리를 굽히지 않고 있다고 복수의 외교소식통이 전했다.

의장국 중국은 북한과 나머지 5개국이 생각하는 에너지 규모와 제공속도 등을 놓고 절충을 시도했으나 성과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협상 타결을 전제로 북한에 제공할 에너지 제공과 관련, 한국측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한국 정부는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 문제와 관련, '한반도 비핵화로 얻어지는 혜택은 물론 부담에 있어서도 6자회담 참가국들이 공동으로 책임진다'는 원칙하에 5개국의 '공동부담' 원칙을 훼손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각국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러나 공동부담 원칙이 확정되면 지원 순서에는 구애받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중유 제공이 확정될 경우 첫번째 지원을 맡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일본은 자국민 납치문제와 관련한 북한측과의 협의에 진전이 없을 경우 에너지 지원에 적극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반해 러시아측은 에너지 지원에 적극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베이징=연합뉴스)
lwt@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