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출마를 선언한 최대집 예비후보는 13일 오전 10시 40분 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보건복지부를 방문, 현재 모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 중인 조국 전 장관의 딸 조민 씨의 의사면허 취소 처분을 요청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조민 씨의 모친인 정경심 서울대학교 교수가 최근 자녀 입시비리 혐의로 2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에 8월 중 열리게 될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취소 여부에 관한 부산대 관계 회의와 고려대학교 관계 회의에서는 조국 전 장관의 딸 조민씨의 입학 취소 처분이 내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최 후보는 이날 “부산대 의전원에서 입학 취소 처분이 내려진 이후 즉시 보건복지부에서 의사면허 취소 처분을 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행정처분의 전례와 대법원 판례 등이 적어도 현재까지 조사한 바로는 없다”며 보건복지부가 의사면허 취소 처분을 주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 최 후보는 “오늘 보건복지부 장관에 의사면허 취소 처분의 민원을 제기하는 것은 이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명확한 입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만약 부산대 의전원의 입학 취소 처분에도 불구하고 보건복지부가 의사면허 취소 처분 조치를 미룬다면 실효적인 법적 대응에 즉각 나서야 한다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공도서관에서 국내 10만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역사연구서 표지에 ‘검열 딱지’를 붙였다가 저자들에게 피소당했다. 13일, 이영훈 교수 등 ‘반일 종족주의’의 저자 5명은 “동 도서에 불법적인 비방 스티커를 부착한 파주시 중앙도서관 직원들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파주시 중앙도서관은 2019년 8월 말 ‘반일 종족주의’ 도서에 대하여 ‘논란이 있는 도서이므로 제한 구입 및 열람 안내문 부착’을 결정하고, 책에 ‘본 도서의 역사적 관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는 책입니다. 다음의 책도 참고하셔서 함께 보시길 권해드립니다’라며 사실상 책을 보지 말라고 권고하는 스티커를 부착하였다”고 항의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검열 딱지’ 부착 사실을 뒤늦게 파악했다고 한다. 이영훈 교수가 설립한 이승만학당은 뒤늦게 이를 인지하고 2021년 7월 항의했다. ‘검열 딱지’는 근 2년간 도서에 부착돼 수많은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노출된 이후였다. 저자들은 “시립 공공도서관이 전문 연구자들의 연구서를 임의로 문제 도서로 판단하여 그 구입 수량을 제한한 것은 사실상의 도서검열제를 행한 것으로 헌법상의 기본권인 출판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한 것”
2020년 5월 7일 대구의 한 카페. 소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씨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저는 수요 데모를 마칠랍니다.” 30년 동안 이어온 수요집회를 중단하겠다는 폭탄선언이었다.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이용수씨는 이처럼 늘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위안부 문제를 알리겠다며 일본 대사관 앞에서 할복 자살극을 벌이는가 하면, 과거 교학사 사태 때는 항의 차 모여고를 방문해 역사 인식도 없으면서 무슨 역사교육이냐고 교장선생님에게 호통도 쳤다. 또,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반대, 박근혜대통령 탄핵 주장, 성주 사드 기지 건설 반대, 국회 비례대표 출마 선언,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포옹하며 열렬한 지지를 보내는 등 정치적으로 맹활약을 이어갔다. 이씨는 국외로는 미국과 프랑스 의회에서 위안부 이력을 증언하고, 위안부 관련 자료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유럽을 방문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이러한 활약상이 소재가 되어 ‘아이캔스피크’라는 영화 속 실제 모델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현 정권 출범 이후로는 해마다 청와대에 초청을 받는 자타공인의 국가 원로급 인사가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용수씨의 위안부 이력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책이 출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과거에 한일우호 인사 등을 비난하며 쓴 “토착왜구” 발언과 관련해 모욕죄 혐의로 피소됐다. 11일, 김병헌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는 황의원 본지 대표와 공동 고소인 자격으로 김태년 의원에 대한 고소장을 종로경찰서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김태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시절인 올해 2월에 김병헌 대표와 황의원 대표 등이 위안부 문제 논문을 쓴 하버드대학 램자이어 교수에 대한 옹호 성명을 발표했던 일을 당 최고위원 회의에서 논의 주제로 다뤘다. 현장에서 김 의원은 “이런 사람들은 극우 인사가 아니라 매국노라고 말해도 부족하다”면서 “토착왜구인 것을 다시 확인했다”고 말했으며 이 발언은 언론을 통해 널리 보도됐다. 이번 고소에 앞장선 김병헌 대표는 “‘토착왜구’ 운운은 우리 헌법과 일본 헌법, 그리고 유엔 헌장 등에서 금하는 반인륜적 인종차별 발언”이라면서 “대한민국의 국격상 더 이상 이런 저질 발언이 횡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차원에서 김 의원에게 분명한 법적 책임을 묻기로 했다”고 이번 고소 취지를 밝혔다. 황의원 대표는 “김 의원은 위안부 문제의 진상에 대해선 아무 것도 모르는 주제에 ‘매국노’, ‘토착왜구’ 운운하는 막말을 우
일본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이사장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 이하 ‘국기연’)가 MBC 방송사에 대해서 이사장 명의로 공개적으로 항의하는 성명을 11일자로 발표했다. 10일자로 방송된 MBC ‘PD수첩’ 프로그램, ‘부당거래, 국정원과 日극우’편은, 한국의 국정원과 일본의 국기연이 한국내 위안부 단체나 독도 단체 대응와 관련하여 정보와 금전 등을 매개로 지속적으로 ‘부당거래’를 해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국기연은 이번 성명을 통해 이같은 MBC 보도 내용은 허위라고 반박했다. 국기연은 “(MBC측이) 구체적인 증거도 제시하지 않은 체, 국기연이 국정원으로부터 정보와 금전적 지원을 받았다고 단언했다”면서 “국기연은 국정원을 포함 그 어떠한 외국 정부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국기연은 이어서 “한국 공영방송국인 MBC의 일련의 보도는 명예훼손에 해당하며 용납할 수 없다”면서 “단호히 항의하며, 사죄와 정정 보도를 요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계속해서 국기연은 MBC ‘PD수첩’이 사쿠라이 이사장을 비판하기 위해서 사쿠라이 이사장이 출연하는 ‘겐론테레비(言論テレビ)’의 영상과 음성 등을 무단으로 딴 문제도 지
※ 본 콘텐츠는 군함도 문제와 관련 일본 측 정보센터 전시 내용의 시정을 요구한 제44차 유네스코 결의에 대한 가토 고코(加藤康子) 일본 산업유산국민회의(産業遺産国民会議) 전무이사의 반박 입장문(‘가토 고코 전무이사의 제 44회 유네스코 결의에 대한 의견(加藤康子専務理事の第44回ユネスコ決議に関するコメント)’)이다. 일본 군함도(하시마) 측 당사자의 정확한 입장을 알린다는 차원에서 입장문 전문을 번역 소개한다. 가토 고코 씨는 하시마 탄갱을 포함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의 세계유산등록 추천서 원안을 집필한 인물로, 산업유산국민회의를 설립, 1차 사료를 기본으로 생존한 옛 하시마 도민, 탄갱 관계자들의 증언을 수집하며 정확한 역사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가토 고코 전무이사의 제 44회 유네스코 결의에 대한 의견(加藤康子専務理事の第44回ユネスコ決議に関するコメント) 유네스코 결의, 유네스코・이코모스 전문가 보고서에 관하여: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을 유네스코에 등록한 지 6년, 그리고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공개한 지 1년 남짓한 시간이 흘렀습니다. 제44차 유네스코 결의 및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이코모스(국제
14일 낮 12시, 광화문 위안부상 바로 옆에서 정의연(정대협) 수요정기집회 1500차를 맞아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의 이우연 대표와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이하 국민행동)의 김병헌 대표가 각각 맞불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이날 이 대표와 김 대표는 위안부상 왼편에서 각각 “위안부 사기 30년, 거짓말 1500회, 대가 치를 것!”, “위안부 성노예설 거짓이다, 위안부 20만설 거짓이다” 등의 내용이 담긴 피켓을 들고 정의연 수요집회 중단의 필요성을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호소했다. 위안부상 오른편에서도 자유연대 김상진 사무총장이 마이크를 들고 정의연 해체 등을 주장했다. 강화된 방역지침에 따라 역시 1인 시위 형태로 진행된 이날 수요정기집회는 1500차라는 상징성을 감안해 주요 방송사의 기자들은 거의 모두 취재를 나왔지만, 정작 당일 보도를 내보낸 방송사는 KBS 와 연합뉴스TV 이외에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갈수록 싸늘해지고 있는 정의연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이하는 이우연 공대위 대표와, 김병헌 국민행동 대표의 맞불 1인 시위 관련 사진. (사진제공 : 공대위·국민행동) 관련기사 : [포토] “위안부상 철거하라!”,
사실(史實)을 추구해온 두 한국 지식인들이 일본 민간 싱크탱크 공익재단법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 이사장 사쿠라이 요시코, 이하 국기연)로부터 연구특별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일본 산케이신문이 지난 2일 보도(12면)했다. 올해 ‘제8회 국기연 일본연구상’ 수상자는 3명으로, 최고상인 ‘일본연구상’에 도시 요시하라(トシ・ヨシハラ) 미 전략예산평가센터(CSBA) 수석 연구원, ‘일본연구특별상’에 이우연 전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박사)과 황의원 미디어워치 대표이사가 각각 선정됐다. 국기연은 일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업적을 낸 외국인 연구자와 그 관계자에게 매년 표창, 창려를 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중국의 일본관, 선명해져” “용기를 높이 사고 싶다”(「中国の日本観、闡明に」「勇気たたえたい」)’, ‘징용공의 진실 한국에서 번역 출판(徴用工の真実 韓国で翻訳・出版)’ 등 제하 기사들을 통해 국기연 ‘일본상’의 취지와 각 수상자들의 면면과 소감을 상세히 보도했다. 이우연 박사와 황의원 대표는 종북반일 세력 등에 의해 심각하게 왜곡된 위안부 문제와 징용공 문제와 관련해 역사적 진실을 정확히 알리기 위한 취재와 보도, 학술 및 출판 활동을 국내에서
※ 본 콘텐츠는 일본 국가기본문제연구소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 이사장의 개인 홈페이지(https://yoshiko-sakurai.jp)에 올라온, 사쿠라이 이사장과 레이타쿠(麗澤)대학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객원교수의 대담 기사 ‘사쿠라이 요시코와 니시오카 쓰토무 대담 - 패소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보도’를 영원히 반성하지 않는 아사히신문(「櫻井よしこvs西岡力」敗訴でも「慰安婦報道」を永遠に反省しない朝日新聞))’을 당사자들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이다. 원문은 ‘슈칸신초(週刊新潮)’ 2021년 5월 6일・13일호에도 게재됐다. (번역 : 미디어워치 편집부, 미나모토 히카루) 사쿠라이 요시코와 니시오카 쓰토무 대담 패소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보도’를 영원히 반성하지 않는 아사히신문(「櫻井よしこvs西岡力」敗訴でも「慰安婦報道」を永遠に反省しない朝日新聞) 펜을 통해서 얼마든지 반론할 수 있는데도 굳이 사법의 장(場)을 통해 싸움을 걸었던 한 남자의 소송이 최근 기각되었다. 이 싸움으로 고통을 받았던 이는 저널리스트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 씨와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씨다. 결국 진실을 쟁취하고서, 판결 이후 처음 만난 두 사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가 국내외로 논란인 가운데 국내 대표적인 반중공 시민단체인 공자학원실체알리기운동본부(대표 한민호, 이하 ‘공실본’)가 1일 오전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중국 공산당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실본은 이날 기자회견 현장에서 ‘천멸중공! 인류의 공적(公敵) 중국공산당을 규탄한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낭독했다. 공실본은 “중국 공산당의 멸망이 멀지 않았다”며 “세계 자유시민과 연대해 중국 공산당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공실본은 성명서 서두에서 “중국공산당이 창당 100년을 맞이해서 단말마의 거친 숨을 내쉬고 있다”며 “국민과 함께 축제를 벌이기는커녕, 국민들을 집안에 가두고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체제 불안감으로 인해 창당 100주년에도 오히려 날로 독재를 강화하고 있는 모순을 지적한 것, 중국 공산당 통치의 역사는 자국민 학살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대표적인 자국민 학살 사건으로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천안문사태가 손꼽히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최소한 수천만의 중국인들이 살해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의 자국민 학살은 오늘날에도 신장 위구르족 민족 말살
중국 공산당 창립기념 100주년이 되는 날, 국내 대표적인 반중공 매체인 에포크미디어코리아가 중국 공산당의 실체를 본격적으로 파헤치겠다는 목적으로 부설 싱크탱크를 설립했다. 에포크미디어코리아는 1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컨벤션홀에서 ‘중국전략연구소’(Intitute for China Strategic Sudies, http://icss.or.kr) 창립 기념식을 열었다. 아울러 동사가 최근 출간한 ‘공산당에 대한 9가지 평론’이라는 책을 소재로 국내 대표적인 중국 전문가들과 함께 세미나도 진행했다. 추봉기 중국전략연구소 소장은 인사말을 통해 미중패권전쟁 속에서 미국의 우방인 한국이 중국의 ‘초한전(超限戰)’, ‘무제한전쟁(無制限戰爭)’에 노출돼있는 상황임을 경고하면서 중국 공산당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정확한 정보가 필요해 전문 싱크탱크인 중국전략연구소를 창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추 소장의 인사말에 이어 지성호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재춘 전 주러시아대사, 그리고 구상진 헌법을생각하는변호사모임 회장이 축사를 통해 중국전략연구소 창립 취지에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이어진 세미나에서는 그랜트 리(Grant Lee) 중국전략연구소 이사장이 단행본 ‘공산당
1955년 일본 NHK의 군함도(하시마) 탄광 내부 영상이 조작이라는 강력한 근거가 제시됐지만, NHK는 이렇다할 반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일본 국민회의 측은 NHK의 영상이 1955년 이후 군함도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기정사실화 해 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영화 ‘군함도’의 광부들도 NHK의 영상 속 광부들처럼 갱내에서 훈도시 하나 걸치고 알몸으로 노동을 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NHK의 영상은 심지어 우리나라 부산의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에서도 상영되고 있다. 사실상 조작으로 드러난 NHK 군함도 영상은 실제 우리나라의 반일 감정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학계와 언론, 정부가 NHK 영상을 적극 활용해왔기 때문.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고 하면 그만 이지만, 역사 다큐멘터리나 교양 프로그램 등은 진실을 표방하기 때문에 문제가 더 심각하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 2015년 6월 28일 KBS ‘역사저널 그날’에서 방영한 ‘군함도의 두 얼굴, 숨겨진 진실’ 편이다. 이날 최원정 아나운서, 신병주 건국대 사학과 교수, 최태성 이투스 한국사 강사, 류근 시인, 이윤석 개그맨, 강동진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특별 패널) 등의 출연진들은 군함도를 아우슈비츠에 빗대며
[편집자주] 훈도시 한 장 착용한 알몸으로 석탄을 캐는 일제시대 군함도 광부들의 영상은 날조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군함도에서 일하는 조선인 징용공’의 모습이라며 우리나라 정부와 언론이 공식 유포해온 사진이 조선인이나 군함도와는 무관한 사진으로 밝혀진 데 이어, 이번에는 반일선동에 활용해온 군함도 탄광 영상마저도 거짓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일본 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이하 국민회의)가 유튜브 채널 ‘군함도의 진실: 조선인 징용공의 검증(軍艦島の真実 朝鮮人徴用工の検証)’에 2021년 5월 27일 공개한 영상 ‘“부정적인 유산” 군함도는 NHK의 날조에서 시작되었다’의 주장을 수회에 걸쳐 정리해 소개한다. 일본 군함도 탄광의 ‘가혹한 노동’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한 1955년도 NHK 다큐 ‘초록 없는 섬(緑無き島)’ 탄광 내부 영상이 실은 조작된 것이라는 다수의 근거가 제시됐다. 일본 우익의 주장이라고 모른척 하기엔 역사적 사실과 증언의 무게가 상당하다. 군함도(일본명 하시마, 端島)는 이른바 ‘조선인 강제징용’의 상징적 장소다. 외딴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해저 수백미터 갱도에서 채탄을 하는 고된 노동 현장으로,
이전기사 : [조작된 반일①] 군함도 ‘훈도시 입은 알몸 광부’ 영상도 결국 날조였나 ‘조작된 반일’ 1편에서는 NHK 다큐 ‘초록없는 섬’에 수록된 하시마 탄광 내부 영상이 조작이라는 근거로 캡램프 미착용, 나체 작업을 근거로 들었다. 이번에는 NHK 영상에 담긴 비현실적인 요소들을 정리해봤다. 하시마 탄광의 현실과는 동떨어진 묘사도 소개한다. 갱 내부에는 폭발방지전등(방폭등)을 사용했다 NHK의 영상을 보면 갱 내부에 일반전구 즉, 백열등이 걸려있다. 일반적으로 탄광에서는 폭발의 위험성 때문에 폭발을 방지하는 특수한 조명인 방폭등(防爆燈)을 사용한다. 특히 하시마는 일본 내 탄갱 중에서도 가스가 많은 ‘갑종탄갱’으로 분류됐다고 한다. 때문에 정착안전전등(방폭등) 사용은 의무로 규정돼 있었다. 실제 당시 미쓰비시 광업부 보안안전규정에는 갱내에서 사용할 방폭등의 구조와 사용법이 자세히 안내 돼 있었다. 옛 하시마 도민들도 이구동성으로 백열등이 설치된 NHK 영상은 하시마일 수 없다고 말한다. 하시마 탄광 보안계에서 근무했던 고바야시 테루히코 씨(85)는 “조명을 설치하는 곳에는 보안감독서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저렇게 일반 전구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