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정부, 행성탐사 위한 선행연구 착수

올해부터 10년간 우주개발 사업에 3조8천억 전망

정부는 지금까지 추진해온 지구 관측 위주의 우주개발 사업 외에 국제 우주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행성 탐사를 위한 선행연구를 시작한다.

과학기술부는 28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2007-2016)을 제시했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부터 2016년까지 위성체 및 발사체의 기술자립화를 추진함으로써 우주개발 사업의 패러다임을 '사업중심'에서 '핵심기술 확보'로 전환키로 했다.

이와 관련해 과기부는 올해부터 10년간 위성체.발사체 기술 자립화 등 우주개발 사업에 총 3조8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본격적인 행성 탐사에 앞서 관련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선진국의 국제 우주탐사 프로그램에 참여해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선행연구를 추진키로 했다.

이는 2016년까지 위성.발사체에 관한 핵심 기술을 확보해 우주개발을 위한 기술자립화를 이룬 뒤 2017년 이후에는 행성탐사에 적극 나설 계획임을 시사한 것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우주개발 사업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를 관측하는 것이라면 2017년부터는 지구가 아닌 달 등 지구 이외의 행성으로 우주개발 사업이 확대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기본계획안은 아울러 '우주기초기술연구사업'을 신설, 원천기술 개발 능력을 높이고 이와 병행해 우주기술 개발 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해 나간다는 내용도 담았다.

정부는 올해부터 2016년까지 기본계획이 추진되는 10년간 기존 우주사업의 확대 및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에 총 3조8천억원, 우주개발 인력은 총 3천600명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패널로 참석한 윤영빈 서울대 교수와 이윤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단장은 우주기술에 있어서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교수는 우주발사체 개발하는 과정에서 산.학.연의 연계성을 역설했고, 이 단장은 우주기술 기초연구를 별도로 독립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박수종 경희대 교수는 이번 기본계획안과 관련해 "과학기술위성에서 기술시험위성으로 변화는 우려된다"며 "과학기술위성의 효과는 충분하므로 그 자체는 지속적으로 추진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박승호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앞으로 어떤 액션플랜을 세우느냐가 중요하다"면서 "기본계획 상의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한편 우주개발기본계획은 2005년 5월 제정된 우주개발진흥법에 따라 기존의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수정, 보완한 것으로 '우주 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과학적 탐사를 촉진해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 확보를 통한 우주강국 실현 ▲우주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통한 국민경제발전에의 기여 ▲우주공간의 영역 확보 및 우주활용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 ▲성공적 우주개발을 통한 국민의 자긍심 고취 등 4대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기본계획안은 이번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6월말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jnle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