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의 건강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가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12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노화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관련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차원의 정책지원 방안을 담은 '노화과학기술연구촉진법안'이 지난달 민주당 김효석(金孝錫) 의원의 대표 발의로 국회에 제출됐다.
김 의원 등 국회의원 12명의 발의자들은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그에 따른 심각한 국가적 문제가 예상된다"면서 "노인의 건강문제,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 문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와 위기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법안 제안이유로 "단순히 평균 수명을 연장하는 식의 접근에서 탈피해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는 노년 즉,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법안은 노화연구에 대해 ▲노화의 기전 규명을 위한 생물의학적 연구 ▲건강 노화를 위한 생의삭적 연구 ▲노화과정에 따른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전 연구 ▲일상생활의 원활한 수행을 가능케 하는 신체와 정신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장수 연구 등으로 규정했다.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노화연구 촉진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토록하고 과기부 장관은 노화연구 기본계획수립, 노화과학 기초분야 연구지원 등 연구 지원을 맡도록 했다.
또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장관도 노화연구 결과를 생산.산업공정 분야, 정보통신분야, 보건.의료 분야에서 각각 효율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응용기술 개발과 개발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토록 했다.
법안은 아울러 과기부 산하에 노화과학기술연구촉진심의회와 실무추진위원회를 둬 노화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을 마련토록 했다.
김 의원측 관계자는 "노화연구의 필요성은 이미 오래 전에 꾸준히 제기됐다"면서 "법안 마련과정에서 학계, 과기부 등의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토론을 거쳐 법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회에서 논의한 결과, 8월 국회에 법안을 상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과기부 측도 "정부 부처들이 개별적으로 노화에 관한 정책을 진행해왔지만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이 없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이번에 노화연구에 대한 연구를 정부가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는 측면에서 법안 제정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jnle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