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安 `신 40대 기수론'으로 전대출마 검토

李 내공 쌓으며 "국가 어젠다 해법 모색"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측근 중 측근으로 꼽혀온 안희정 참여정부평가포럼 상임정책위원장과 이광재 통합민주당 의원이 총선 이후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원외에 머문 안희정 위원장은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정치활동에 조심스럽게 시동을 걸기 시작했고, 재선 고지를 밟은 이광재 의원은 대형 국가 어젠다의 해법을 모색하는 입법운동을 구상하고 있다.

한때 `좌(左)희정, 우(右)광재'로 불리며 노무현 정권의 핵심실세로 불렸던 두 사람이 총선을 기점으로 그간 고착화돼온 친노(親盧) 이미지를 서서히 벗어내며 제각기 `마이웨이'를 찾아가고 있는 형국이다.

총선 공천과정에서 비리.부정전력자 배제기준에 걸려 원내진출이 좌절됐던 안 위원장은 `당내 정치' 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측근'으로서 봉하마을로 내려가 노 전대통령을 보좌하느냐, 아니면 `당원'으로서 새로운 정치적 재기의 길을 모색하느냐의 갈림길에서 고심 끝에 후자의 길을 택했다는 게 안 위원장의 설명이다.

안 위원장은 일부 기자들과 만나 "새로운 정당인, 새로운 정치인으로 거듭 나는 길을 걷고자 한다"며 "이제는 정치의 지각판을 새로 짜야할 때다. 시장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공급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주의 구도와 보수.진보의 낡은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민주당의 새로운 노선과 비전을 제시하는데 힘을 쏟겠다는 게 그의 구상이다.

이에 따라 안 위원장은 7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직에 출마하는 방안을 신중히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 위원장은 "21세기형 신 40대 기수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친노라는 꼬리표와 원외라는 핸디캡이 있지만 충분히 극복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총선에서 낙천한 이후 지역구인 충남 논산.금산.계룡에서 민주당 양승숙 후보의 유세를 적극적으로 도와 당내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재선에 성공한 이광재 의원은 정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행보는 가급적 피한 채 사회적 당면과제와 국가적 어젠다를 다루는 입법운동에 치중하겠다는 구상을 내보이고 있다.

일자리와 보육.교육, 노인 복지 등 삶의 질 문제와 평화, 대운하, 수도권과 지역의 공동발전 등 진보적 어젠다를 입법무대에서 현실화해내는데 힘을 쏟겠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 의원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전당대회에는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의 진보의 모델을 모색하면서 입법운동을 펴나갈 것"이라고 밝히고 "내달 중순 당선자 워크숍에서 새로운 정책과 입법방향을 제시하고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과 함께 입법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회 내에 특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한 정년연장이나 수도권 규제완화, 지방도시 발전방안을 조속히 입법화해내겠다는 구체적 복안도 세워놓고 있다.

이 의원은 총선이 끝난 뒤 봉하마을로 노무현 전대통령을 찾아 향후 진로와 입법활동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이 같은 행보는 총선을 거치며 친노세력의 당내 입지가 현실적으로 좁아짐에 따라 `정책'을 중심으로 새로운 세력화를 도모하려는 포석으로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rhd@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