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노점 "우리도 탈규제ㆍ자율화"..구청 "불복하면 전기 끊을 것"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송진원 기자 = 날씨가 따뜻해짐에 따라 서울 시내 노점상과 관할구청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시가 노점 표준규격을 강제하는 절차를 밟기 시작하자 노점상들이 가판의 너비를 자율화하고 질서도 알아서 지키겠다고 집단 반발하고 있는 것.

28일 서울시와 노점상 단체들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달 말까지 노점 규격을 고지ㆍ홍보하는 기간으로 삼았으며 노점상들은 이에 맞서 집회를 여는 등의 방법으로 반발하고 있다.

관할구청은 추울 때 전기를 끊거나 노점을 철거하면 영세 상인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비난 여론이 일 우려가 있어 날씨가 풀리기를 기다린 것으로 전해졌다.

전국노점상총연합은 `올 것이 왔다'고 판단하고 이날 노점상 250여명을 광진구 구의동 강변역 앞에 집결시켜 `자율질서 발대식 1차 대회'를 개최했다.

서울시가 가로 200㎝ㆍ세로 150㎝를 표준 노점 규격으로 강제하고 있지만 광진ㆍ성동 노점들은 지역 특색을 감안해 가로를 240㎝로 40㎝ 늘리고 이 규격에 따라 스스로 질서를 지키며 영업하겠다는 선포식을 가진 것이다.

전노련 관계자는 "광진.성동 지역은 먹을거리 노점이 많다"며 "먹을거리 노점의 기본은 떡볶이, 순대, 튀김, 오뎅인데 서울시의 규격으로는 작은 화로 4개를 뚫을 수 있지만 솥을 일자로 놓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솥을 지그재그로 놓는다면 손님이 먹을거리를 선택하기도 힘들고 먹을 공간도 좁다. 가로 40㎝를 더 준다면 화로 4개에 떡볶이, 순대, 튀김, 오뎅을 일자로 놓고 요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된다"고 말했다.

전노련은 광진.성동지역의 자율화 운동을 서울 전역과 경기 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전노련 방침에 따라 영등포지부의 경우 먹거리가 특색이지만 그 지역 인도가 좁고 보행자들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 가로 210㎝로 10㎝만 위반하기로 했고, 강동지부는 노점상들이 주로 양말ㆍ속옷ㆍ휴대전화기 껍데기 등 작은 공산품을 팔고 있어 가로 200㎝ 규격을 수용키로 했다.

그러나 관할 구청들은 노점상들의 이 같은 `자율화 계획'에 일절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광진구청 실무자는 "규격을 맞추지 않는 불법 노점에 대해서는 전기를 끓을 계획"이라며 "다만 처음부터 강압적으로 하지는 않고 일단은 규격을 맞추도록 유도할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래는 노점이 불법인데 노점상들의 집단행동에 공권력이 밀리면서 200×150짜리 규격을 서울시에서 허용한 것"이라며 "규격을 줄이면 보기도 좋고 주민들의 통행로도 확보할 수 있으며 도시 디자인도 깔끔하게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노련은 이날 포장마차에 돼지머리를 올리고 "앞으로 많이 단속해주길 비나이다. 단속을 이기도록 싸울 힘을 주시길 비나이다"라고 고사를 지냈다.

노점상들과 관할 구청의 본격적인 충돌은 불법 노점에 대한 사진촬영 등 구청의 채증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가시화할 전망이다.

jangje@yna.co.kr

sun@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