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화장장 갈등 타결에 하남시민들 '환영'
(하남=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하도 오래 끌어서 화장장 얘기만 나오면 징글징글했는데 도지사와 시장이 합의를 했다니 잘 됐네요, 이제 화장장 얘기는 그만 했으면 좋겠어요"
경기도 하남시 광역화장장 부지인 천현동 인근에서 자영업을 하고 있는 주민 천모(40)씨는 29일 전날 오후 경기도청에서 단식투쟁에 돌입한 김황식 시장이 김문수 도지사와 광역화장장 포기 대가로 하남시 발전사업에 대한 지원약속을 받는데 합의, 화장장 갈등이 전격 타결됐다는 소식을 듣고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천씨는 "광역화장장도 안 생기고 경기도에서 하남을 위해 지원해 주겠다고 하니까 잘 된 것 아니냐"며 "지금까지 화장장 문제에 쏠려 있던 하남시 행정이 민생발전 쪽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남시 발전을 위해 불가피하다며 이달 초 광역화장장 유치에 나섰던 초이동 주민 안모(56)씨도 "경기도에서 광역화장장을 포기하는 대신 하남시를 지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이번 합의로 하남시의 갈등은 다 끝났다"며 "앞으로는 우리 시를 위해 모두가 합심하는 일만 남았다"고 말했다.
지난 18개월간 광역화장장 건립문제로 찬.반 주민이 극명하게 나뉘어 시장에 대한 주민소환투표까지 진행했던 하남시 주민들은 경기도와의 합의가 화장장 갈등을 완전히 봉합하는 계기가 될 것을 희망하고 있다.
광역화장장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도 광역화장장 문제가 끝난 것에 대해 환영하는 입장을 밝히면서 시민과의 갈등을 완전히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광역화장장 유치에 반대하며 김 시장에 대한 주민소환투표를 이끌었고 지난달부터 마을회관을 팔아 김 시장에 대한 주민소환을 재추진하고 있는 범대위는 지난 19일 대규모 집회를 열어 "하남시민이 겪은 고통에 대해 책임지고 김 시장은 퇴진하라"고 요구하는 등 하남시에 대한 압박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었다.
범대위 관계자는 "광역화장장 문제는 완전히 끝이 났지만 김 시장이 범대위 간부들과 화장장건립을 반대하며 아파트에 현수막을 내걸었던 주민들과의 갈등을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범대위는 28일 밤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으며, 김 시장에 대한 주민소환투표 재추진운동 등 범대위가 진행중인 활동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과 하남시와 경기도간 합의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29일 공식발표할 계획이다.
하남시도 경기도와의 합의내용에 대해 상당한 만족감을 드러내며 하남시 발전의 초석이 될 사업들을 하나하나 착실하게 진행시킬 준비에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비록 2천억원을 당장 받는 것은 아니지만 중앙대 유치를 위한 기반시설 지원이나 덕풍천 자연생태하천 조성, 덕풍골 터널 건설 등 도가 지원을 약속한 사업의 규모를 모두 합치면 2천억원에 버금간다"며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워 차근차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하남시민들이 겪은 고통을 해소하고 시민 모두 하나 될 수 있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으며 화장장반대범대위에서 먼저 제의해 오면 서로 만나 그동안의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할 수 있는 자리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hedgehog@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