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김영환 전의원 “‘고건신당’ 창당해야”

“기회주의 정당 될 것” 민주당 지지자들 반발

고건 전 국무총리의 측근으로 알려진 김영환 전 의원의 “기존 정치세력의 기계적 통합이 아닌 고건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신당창당을 해야 한다”는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25일 인터넷신문 '뷰스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열린우리당-민주당-고건 전 총리의 통합은 2007년 대선에서 필패한다”고 주장하며, “중도개혁적 목표의 통합신당을 만든 뒤, 기존의 정치세력을 흡수하는 형태가 돼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같은 이유로 “열린당은 완전히 외면당하고 있고 민주당은 완전히 식상한 상태가 되버렸다. 부부가 이혼했는데 아빠는 무능한 술주정뱅이고, 엄마는 몸이 허해 남루해져서 둘이 모여 살아봐야 좋지 않은 상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은 <프리존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합집산은 있겠지만, 현재로선 유력한 대선후보가 없다. 새로운 정치세력이 출연하지 않으면 대선에서 이기기 어렵다고 본다. 고건 전 총리가 통합신당을 구성해 한나라당과의 경쟁구도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신당창당은 열린당과 민주당이 해체되지 않고 사실상 그대로 남는 것을 뜻하는가'라는 질문에 “아직 큰 차원의 틀에서만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뿐 구체적인 사안은 아니다”고 못 박으며, “열린당과 민주당이 통합 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어려울 것이다. 여타의 중심세력 형태가 나서야 국민의 관심을 끌 수 있다. 하지만 두 당이 합치는 것은 안 합치는 것보다 낫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김 전 의원은 또 인터뷰에서 “차기대선에서 ‘부패와 비리로부터 자유로운 사람, 극좌와 극우를 배제한 중도세력,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사람, 전문가 집단 등의 요소를 가진 인물들이 모여 새로운 정치실험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고건 전 총리를 ‘범여권 대선 후보’로서 유일한 대안으로 손꼽았다.

또 고건 전 총리가 ‘한나라당과 차별성 없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고건 전 총리가 정중동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지지율 1위를 달릴 수 있는 것은 그가 갖고 있는 개혁성 때문이다. 그의 개혁성은 청렴성이다. 부패로부터 자유로운 것보다 더한 개혁은 없다. 지금 현재 나온 정치인 가운데 청렴, 청빈, 깨끗한 이미지 등의 면에서 개혁적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 과연 열린우리당에 남을 것인가

김영환 전 의원은 노 대통령의 독선과 오기가 열린우리당 참패를 낳은 것이라고 분석하고, 그가 정계개편에서 빠지는 것이 범여권이 사는 길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는 “5·31지방선거 이후 대통령은 탈당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추하게 탈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이 다음 정권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가장 단적인 예가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영입한 인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강금실, 진대제 등의 후보가 어떻게 하고 있는가. 열린우리당 후보라는 점을 숨기기 위해 애쓰고 있다. 대통령이 정쟁에서 벗어나는 것이 퇴임 후 후환을 없애는 일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의 창당원칙 자체가 잘못됐다 하더라도 노 대통령이 자초해서 만든 정당이고, 노 대통령의 지지율이 열린우리당 지지율보다 크게 앞서고 있는 상황인 이상 과연 당 차원에서 이번 선거에서 참패를 하더라도 노 대통령에게 과오를 떠넘기고, 책임을 물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이 탈당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며, 오히려 반노세력의 탈당을 부추기면서 유시민, 김두관, 일부 386의원 등 친노세력으로 끝까지 당을 이끌어 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김영환 전 의원 사실상 탈당선언?

민주당 지지자들의 인터넷 모임인 <남프라이즈> 네티즌들은 고건 전 총리를 중심으로 신당을 창당하는 것은 사실상 민주당 탈당선언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남프라이즈> 네티즌 ‘관찰자’는 ‘기회주의자 김영환의 고건 대통령 만들기’라는 글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을 해체시킬 자신이 있느냐고 물으며, “1%의 가능성도 없지만 고건신당이 일정 정도 성공한다 해도, 그건 대권주자 하나만을 바라보고 헤쳐모이는 기회주의 정당, 즉 정몽준이 만들었던 국민신당 이상 될 수 없을 것이고 남아있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그대로 주저앉게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다른 네티즌은 “고건을 중심으로 헤쳐모여 한 당의 정체성은 무엇인가”라고 되묻고 “지지율은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허망한 신기루 같은 것이다. 현재의 지지율만 믿고 온갖 잡탕 인간들이 헤쳐모여 한다? 이런 뿌리도 없고 색깔도 없고, 단지 권력을 잡기 위해 헤쳐모여 한 신당은 지지할 생각이 전혀 없다. 지겹다 신당”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네티즌들은 “김영환 전 의원의 고건이 신당을 만들고 민주당에서 합리적인 인사가 개별 입당한다는 발언은 정확히 맞는 말이다. 새인물들이 대거 발탁 되어야 한다”, “민주당은 발전적 해체, 고건 신당에 자발 참여, 고건을 모셔오는게 아니라 참여해야만 다음정권을 잡을 수 있다”며 고 전 총리가 유일한 대안이라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김영환 전 의원은 <프리존뉴스>와의 통화에서 “7월 민주당 전당대회가 있을시 나가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과연 그가 대안을 제시한대로 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정계개편에서 고건 전 총리가 깃발을 들게될지, 그리고 뛰어든다면 얼마나 큰 파장을 미칠 것인지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돼 있다.

한편 유력한 대권주자이면서도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던 고건 전 총리는 5·31지방선거 이후, 자신이 중심이 돼 우민회를 포함한 전국연합의 연대체형식 조직을 만들고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지방선거 이후 정계개편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될지, 고건 전 총리는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지영 기자 (pisces0223@freezonenews.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