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일본이 24일 오후 정찰위성 '레이더 2호'의 발사에 성공함에 따라 모두 4대의 정찰위성으로 지구촌 구석구석을 실시간 정밀 감시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일본 정부가 지난 19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 후 북한에 대한 감시 및 정보수집을 목적으로 도입을 결정한 이후 당초 계획보다 3년 늦게 4기 체제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일본은 이로써 그동안 미국의 상업위성이나 미군 첩보 위성 등에 의존해온 북한 등에 대한 정보를 독자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감시망을 확립했다는 점에 지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새 위성에 대한 3개월간의 기능 점검을 거쳐 올 여름부터 4기의 정찰위성 체제가 본격 가동되면 지구촌 어디든지 1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 하루 최소한 1번 이상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4기의 정찰위성은 고성능 디지털카메라를 장착, 지상을 촬영하는 광학위성 2기와 야간 및 우천시에도 촬영이 가능한 레이더 위성 2기다.

이들 위성은 북한에 대한 감시를 표면적 이유로 도입됐기 때문에 특히 한반도에 대한 감시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한반도 상공에 일본의 최첨단 초고성능 감시카메라 4대가 설치돼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

일본의 정찰위성은 중국 대륙도 샅샅이 감시할 것으로 보여 중국과 감시와 견제를 위한 위성개발 경쟁을 새롭게 촉발시킬 가능성도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24일 '레이더 2호기'의 발사 성공을 환영하면서 "우리 나라의 우주개발이용이 우주선진국에 걸맞은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담화를 발표했다.

▲발사 경위

일본은 19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독자적인 위성을 보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자 그해 12월 '위성 보유'를 각의 결정했다. 공식 명칭은 '정보수집위성'으로 부르고 있지만 사실상 정찰위성이다.

2003년 3월 2기의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그러나 그해 11월 H2A 로켓의 발사가 실패하는 등 연속 발사 실패로 4기 체제가 3년 늦어졌다. 대포동 발사 후 8년 반만에 4기를 모두 우주 궤도에 쏘아 올리게 된 것이다.

그동안 4대의 위성 발사와 지상 설비를 정비하는데 들어간 경비는 약 5천억엔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각 위성의 내구 연한이 5년 정도이기 때문에 앞으로 4기 체제의 유지를 위해 오는 2011년에 노후 위성을 대체할 수 있도록 광학 및 레이더 위성을 1기씩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09년에는 분석능력이 한층 뛰어난 '광학 3호'의 발사도 예정해 놓고 있다.

이번에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H2A 로켓은 2005년 2월 이후에 6회 연속 성공, 세계 유수의 로켓에 뒤지지 않는 일본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다. H2A 로켓의 조달 및 발사 업무는 이번 발사를 끝으로 정부 산하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에서 미쓰비스중공업으로 민간 이관된다.

▲성능 및 기능

레이더 위성과 광학 위성은 모두 400-600km 상공을 남북으로 선회하는 '극궤도'를 하루 10여회 돌게 된다. 레이더와 광학위성이 1대씩 두 대가 한조를 이뤄 각기 다른 궤도를 선회하는데, 궤도는 항상 같지만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지구 표면 전체를 감시하게 된다.

그러나 한 조 만으로는 지구 전체를 단시간에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2개조가 서로의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해 4대, 2개 조가 지구상의 모든 지점을 하루 24시간 이내에 최소한 1번 이상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광학위성은 보통의 빛으로 지구상의 정밀 화상을 얻을 수 있으나, 레이더 위성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전파의 반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밤이나 날씨에 관계 없이 지상을 관측할 수 있어, 광학위성의 취약 부문을 보완하게 된다.

이들 위성으로는 지상의 1m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은 이번에 레이더 2호 위성과 함께 광학위성 실험기를 발사, 현행 위성보다 더욱 정밀한 분해능력을 갖는 광학센서 등의 테스트를 반년간 실시할 예정이다.

▲발사 배경

일본의 정찰위성 감시망 구축은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가 계기가 됐다. 그러나 그동안 군사력 강화를 꾸준하게 추진해온 일본 정부가 정찰 위성 보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던 차에 북한의 미사일이 결정적 빌미를 제공했을 뿐이다.

더구나,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뿐 아니라, 중국의 군비 증강을 크게 경계해왔다는 점에서, 이들 정찰위성의 주요 감시 지역에 중국이 포함될 것임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독자적인 위성 감시체제를 갖춤으로써 중국의 동향에도 기민하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25일자 사설에서 "중국도 군비의 증강에 힘을 쏟으며 일본 근해 등에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우주 감시망에 갖는 기대가 매우 크다"며 중국에 대한 감시 목적에 활용될 것임을 전망했다.

일본 정부.여당은 위성의 이용을 방위목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우주기본법안'(가칭)을 이번 정기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2007년도 예산안에 정보수집 위성의 예산으로 602억엔이라는 거액을 편성해 놓고 있다.

일본은 현재 승용차나 트럭 등을 분간할 수 있는 지상 1m 크기의 물체 밖에는 식별할 수 없지만, 앞으로는 해상도를 60cm 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이와 함께 위성으로 얻은 정보를 독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 개발에도 힘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도쿄=연합뉴스) lhk@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