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출범한 반중·반공 시민단체 ‘차이나아웃(China Out)’이 19일 오전 11시 30분, 중공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3월 9일 대선과 관련 중공의 개입 가능성을 강력하게 경고하고 나섰다. ‘차이나아웃’ 권영철 대표는 이날 “중국 공산당이 그동안 대한민국 정치에 깊숙이 개입하여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고 확신한다”며 “특히 지난 2016년부터 2017년에 걸쳐 박근혜 대통령에게 누명을 씌우고 유언비어를 조작하여 탄핵하는 과정에서 중국공산당의 역할은 결정적이었다”고 주장, 중공이 사기탄핵에도 깊숙히 개입했다는 합리적 의심을 재확인했다. 권 대표는 “당시 공산당은 중국 본토의 소위 우마오당 3,000만 명,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중국인 100만 명, 중국인유학생 6만 명을 총동원하여 인터넷을 통해 여론을 조작했다”며 “그들 중 상당수는 촛불을 들고 광장을 메웠으며, 중국공산당이 그동안 열심히 만들고 관리한 정계, 재계, 언론계 등 각계의 한국인 친중인맥을 동원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요즘에도 청와대 국민청원과 온라인 여론이 중국인들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현실을 수시로 목격하고 있다”며 중공이 한국 정치에 개입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고 이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2년 1월 17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사도금광을 헐뜯는 한국에 사실로 반박하라佐渡金山をけなす韓国に事実に基づく反論をせよ」)’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사도금광을 헐뜯는 한국에 사실로 반박하라(佐渡金山をけなす韓国に事実に基づく反論をせよ) 지난해 12월 28일, 일본의 문화청 문화심의회(文化庁 文化審議会)는 니가타 현의 사도킨잔(佐渡金山, 사도금광)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했다. 그러나 문화청은, 선정 자체는 추천 결정이 아니며 추후 정부 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주석을 달았다. 2월 1일이 유네스코 추천서 제출 시한이다. 그러나 이미 1월 중순을 넘겼음에도 아직 추천이 결정되지 않는 이상사태가 지속되고 있다. 왜 이런 사태가 벌어졌는가. 일본 정부는 분명한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한국이 민·관을 앞세워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추천 후보 선정에 대해서 한국 외교부는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1년 12월 13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위안부가 성노예임을 부정한 논고를 철회한 미국 외교전문지(米で「慰安婦≠性奴隷」論文を削除)’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위안부가 성노예임을 부정한 논고를 철회한 미국 외교전문지(米で「慰安婦≠性奴隷」論文を削除) 미국 소재 국제문제 전문지인 ‘디플로맷(The Diplomat)’가 ‘전시(戦時)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한국인 학자의 논문을 게재한 뒤 곧장 철회하면서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후 해당 매체는 성노예설을 주창하는 타 학자의 논문을 대신 게재했다. 이는 미 하버드대 마크 램자이어 교수가 학술지 논문 철회를 요구받은 데 이어, 금년 들어 위안부에 관한 두 번째 학문의 자유 침해 사건이다. 항의에 굴복한 편집부 해당 매체는 11월 14일, 일본과 한국 양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된 ‘반일종족주’의 공동저자 이우연 박사의 논고인 ‘위안부 문제와 한국의 반일종족주의(Anti-Japan Tribalism on t
한일우호 시민단체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 ‘국민행동’)과 자유대한호국단(대표 오상종, ‘호국단’)이 6일 낮 11시 30분부터 대구광역시청 앞에서 ‘가짜 위안부’ 이용수에 대한 형사고발을 촉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날 국민행동과 호국단은 시청 앞에서 집회를 마친 뒤에 대구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과 대구 2.28 기념 중앙공원 인근에 설치된 소녀상 앞에서도 계속 집회를 이어갔다.
한일우호시민단체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 이하 국민행동)이 4일 오전 11시, 광화문 연합뉴스 건물 앞에서 이용수 씨를 주인공으로 다룬 한 다큐멘터리와 관련 반박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김병헌 국민행동 대표는 지난달 26일 영국 민영방송인 ‘채널4(Channel 4)’가 방영한 시사프로그램 ‘보도되지 않은 세계(Unreported World)’의 '일본 전시 성노예를 위한 정의(Justice for Japan's wartime sex slaves)'편을 강하게 문제삼았다. 김 대표는 이 다큐가 역사적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했다면서 그 내용을 사안별로 조목조목 반박했다. 해당 다큐는 타이틀에서부터 일본군 위안부를 “전시 성노예”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위안부는 소정의 비용을 받고 성적 서비스를 제공한 직업여성이라는 점에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고 시키는 대로 해야 하는 노예와는 다르다”라고 단언했다. 김 대표는 채널4의 다큐가 이용수 씨를 일본군에게 집단 납치와 강간을 당한 전쟁범죄 피해자로 묘사한 부분도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점령지 여성에 대한 강간·납치·살해와 같은 전쟁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운용된
한일우호 시민단체들이 결국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를 종로 위안부상 주변에서 멀찍하게 밀어냈다. 1일 낮 12시,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대표 김병헌, ‘국민행동’)과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대표 이우연, ‘공대위’), 엄마부대(대표 주옥순), 자유연대(대표 이희범), 자유대한호국단(대표 오상종)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인근 지역에서 위안부상을 앞뒤좌우로 에워싸고 수요맞불집회를 벌였다. 이날 정의연은 사상 처음으로 서울지방국세청 옆 인도에서 ‘수요시위’를 진행해야 했다. 위안부상 주변은 물론, 근처 연합뉴스 앞 집회장소도 국민행동 측에 의해 선점당해 기존 집회 장소에서 30여 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행사를 할 수 밖에 없었던 것. 정의연을 밀어내며 연합뉴스 앞에서 맞불집회를 연 김병헌 국민행동 대표는 ‘가짜 위안부 이용수를 처벌하라’는 플래카드를 들고나와 눈길을 끌었다. 김 대표는 “이용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커녕 ‘일본군 위안부’도 아니라는 사실이 본인 증언에 대한 검증으로 다 밝혀졌다”면서 “정대협과 함께 30년 동안 전 세계를 속여온 사기꾼인 만큼 부정수급 등 형사처벌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이번주 이용수 구속 촉구 집회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국제 외교안보 싱크탱크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2021년 11월 29일자로 게재된, 레이타쿠(麗澤)대학 객원교수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의 기고문 ‘전두환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생각(全斗煥元大統領逝去に思う)’를, 니시오카 교수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전두환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생각(全斗煥元大統領逝去に思う) 한국의 전두환 대통령이 90세를 일기로 서거(逝去)했다. 문재인 정권은 전직 대통령은 국가장의 대상이라는 법령상의 규정을 무시한 채 국가장은커녕 유가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조차 하지 않았다. 그동안 전두환 전 대통령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병원비도 친인척으로부터 지원받고 있었기에, 장례비용은 그가 집권 시절에 함께했었던 관료와 비서관이 설립한 협회에서 부담해야 했다. 문 대통령뿐만 아니라 한국의 행정부 관계자는 어느 누구도 전 전 대통령에 대해 조문을 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정작 북조선의 김정일 총서기가 사망했을 당시에는 조문단을 보낼 것을 정부에 요청한 바 있으며 본인 또한 정녕(丁寧)의 조전을 전했던 바 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4년 전 출간한 회고록에
임기중 두드러진 외교 성과를 내지 못한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6개월을 남기고 북한과의 ‘종전선언’을 전면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민 다수는 지난 수십 년간의 대한민국 안보를 위협해 온 북한과 문재인 정권이 섣부른 종전을 선언하는 것이 아니냐며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일련의 상황을 앞에 두고 일본에서도 문재인 정권의 외교정책에 강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2일, 일본의 대표적인 한국통인 리소데츠(李相哲, 이상철) 교수는 산케이신문을 통해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은 위험한 도박(文大統領「終戦宣言」危険な賭け)’ 제하로 칼럼을 기고했다. 칼럼 서두에서 리소데츠 교수는 “문 대통령이 임기말 우선과제로 삼은 ’종전선언’은, 전후 일본과 미국, 한국이 구축한 동북아의 안전보장 체제를 파괴하는 위험한 도박 행위”라고 경고했다. 리소데츠 교수는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을 김정은과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한 선물 정도로 생각한다”면서 “이는 국제사회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리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남북 간 현안인 납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보다도) 한국군 포로의 석방과 납치 피해자의 해방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중공의 각종 만행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비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친중세력이 집권한 한국에서도 자유보수 우파 세력을 중심으로 반중(反中)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월 결성된 시민단체인 차이나아웃(China Out!, 공동대표 권영철, 문경태)은 24일 오후 1시30분 명동 중공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 및 1인시위를 열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중국공산당이 올림픽을 개최한다는 것은 올림픽정신에 대한 모욕이며 인류에 대한 도전“이라며 "중국공산당은 인간의 가치를 드높이고 세계평화에 공헌하기는커녕, 국가가 나서서 공공연하게 인권을 유린하고 평화를 위협하고 있는데, 이번 베이징올림픽은 그런 중국공산당에게 면죄부를 주고 월계관을 씌워주자는 음모"라고 비판했다. 이어 차이나아웃은 국제적인 베이징동계올림픽 거부(diplomatic boycott) 운동에 동참할 것을 현재 친중 성향을 보이고 있는 문재인 정권에도 요구한 후 “베이징올림픽에 김정은을 불러서 가짜 평화쑈를 연출함으로써 3월 9일 대통령선거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망상은 즉각 포기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앞으로도 매주 수요일 같은 시간, 같은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하나다(月刊Hanada)’의 인터넷판인 ‘하나다프러스(Hanadaプラス)’에 2021년 11월 17일자로 게재된, 와다 마사무네(和田政宗)의 ‘시진핑의 ‘공약’인 ‘대만 침공’, 일본은 강력히 대응해야(台湾侵攻は習近平の「公約」だ)’를 ‘겟칸하나다’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요시다 켄지) 시진핑의 ‘공약’인 ‘대만 침공’, 일본은 강력히 대응해야 (台湾侵攻は習近平の「公約」だ) [필자소개] 와다 마사무네(和田政宗)는 일본 국회의원(참의원)이다. 1974년 도쿄 출생으로, 게이오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일본외교사 전공)했다. 1997년에 뉴스 앵커로 NHK에 입사해 니가타국, 오비히로 방송국, 오사카 방송국을 거쳐서 2009년 7월부터 센다이 방송국에서 근무했다. 동일본대지진 당시 보도 및 취재에 임했다. 2013년 제23회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미야기 현 선거구에서 처음으로 당선됐으며, 이후 2019년 전국 비례구에서 재선됐다. 현재 참의원 자민당 국회대책부위원장을 맡고 있다. 침공 위기에 처한 대만 금번달(11월) 12일과 13일에 제7회 ‘일본-대만 교류 써밋(日台交流サミット)’이 일본 고
MBC가 이철순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발언을 왜곡 보도했다가 법원으로부터 반론보도 명령을 받아 지난 7일 반론보도문을 영상으로 방송했다. 이는 서울고등법원의 조정 결정에 따른 것이다. 앞서 지난 4월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은 이철순 교수가 MBC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 MBC 측에 반론보도문을 자막으로 보여주면서 진행자가 낭독하도록 명령했다. 사건은 항소심으로 넘어갔는데, 고등법원 2심에서 재판에 앞서 조정안을 냈고 양측이 이를 수용했다. 조정안에서 애초 반론보도 결정은 원심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언 수위만 약간 조절됐다. 이철순 교수 측은 “2심 재판 이전에 재판부의 조정을 받아들였다”며 “그냥 재판으로 갈까 하다가, 사실관계를 분명히 하는 반론보도문을 빨리 얻어내는 게 실익이 크다고 생각해 수용했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의 각종 만행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비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비록 친중좌익 세력이 정권을 잡고 언론을 장악한 한국에서도 민간 차원의 반중(反中) 운동은 날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결성된 ‘공자학원실체알리기운동본부’(대표 한민호)가 다방면에 걸친 활동으로 중국 공산당의 학내 거점인 공자학원의 실체를 폭로하고 널리 알려온 데 이어, 올해 10월 결성된 신생 반중 시민단체 ‘차이나아웃!(China Out!)’(공동대표 권영철, 문경태)’이 공자학원 뿐만이 아니라 베이징 동계올림픽 등 중공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새로이 비판적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차이나아웃!’은 대표적인 보수 애국단체인 나라지킴이고교연합(회장 민계식)과 자유수호포럼(대표 이상진)이 중공의 행패에 공동 대처하기 위해 만든 시민단체로, 지난달 13일 프레스센터에서 출범식을 열고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에 ‘차이나아웃!’은 세미나에 그치지 않고 중국 공산당과 싸우기 위해 거리로 나선다. 매주 수요일 중국대사관 앞에서 중국 공산당의 만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기로 한 것. 오는 3일 오전 11시, 명동 주한중공대사관 앞에서의 기자회견이 그 첫 단계
국립 충남대학교에 위안부상을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일단 저지 된 가운데, 위안부상 설치에 반대해온 한일우호 시민단체들의 의견서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지난 25일,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와 국민계몽운동본부(이하 국계본)는 충남대 앞으로 위안부상 설치에 강력히 반대하는 의견서를 발송했다. 공교롭게도 다음날 충남대 측은 위안부상 설치와 관계된 회의 절차 등을 잠정 연기했다. 공대위 관계자는 “‘2021년 10월 30일로 예정된 충남대학교 내 위안부동상 설치에 대한 의견서’라는 제목의 의견서를 한글과 영문으로 각각 작성해 대학 측에 등기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후 충남대 위안부상 건립에 대한 조형물 심사위원회가 26일 오후 2시 개회할 예정이었으나 막판 취소됐다. ‘충남대 평화의 소녀상 추진위원회’도 30일로 계획했던 제막식을 취소됐다. 모든 절차가 잠정 연기가 된 것. 추진위가 제막식을 취소한 것에 대해 한겨레신문은 “최근 학교 쪽이 추진위 쪽에 설립 절차 등을 공론화하자고 제안한데 따른 조처”라고 보도했다. 시점상 충남대가 공론화를 제안하며 위안부 소녀상 건립에 막판 제동을 건 배경에 공대위 등이 앞서 전달한 반대 의견서가 상당한 영향을 미
※ 본 콘텐츠는 존 조셉 코로넬(John Joseph S. Coronel)이 작성한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자유주의(Liberalism)’의 원칙으로 독일 및 세계 각국에서 정치교육을 제공하는 단체인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Friedrich Naumann Foundation for Freedom)의 홈페이지에서 ‘중국 독재자들을 성가시게 하는 존재, 뤼슈렌(Annette Lu: The Thorn of a Thousand Tyrants)’ 제하로 게재됐습니다. ‘대만은 왜 중국에 맞서는가’ 홍보 차원에서 재단 측의 허락을 받아 미디어워치에 게재합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중국 독재자들을 성가시게 하는 존재, 뤼슈렌 (Annette Lu: The Thorn of a Thousand Tyrants) 뤼슈렌(呂秀蓮)은 대만 최초의 여성 부총통이자 이를 두 차례 연임한 정치인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물론 인상적인 정치 커리어지만, 그녀는 그 이상의 인물이다. 용기, 역량, 그리고 인격이야말로 그녀가 대만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지위에 오를 수 있었던 근본적인 요인이다. 하지만, 그런 지위를 얻기까지 건강 악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