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국내과학자, 미NIH '국제 저명과학자상' 첫 수상

서울대 의대 류인균 교수..히로뽕 중독 원인규명 공로

류인균(43) 서울대 의대 교수(정신과.자연대 뇌과학과정)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약물의존연구소(NIDA)가 수여하는 '2007 국제 저명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2일 과학기술부가 밝혔다.
NIH는 2000년부터 매년 약물연구 분야에서 외국의 저명한 과학자를 선정, 국제 저명과학자상을 수여해 왔으며, 류 교수는 국내 과학자로는 이 상의 첫 수상자가 됐다. 지난해에는 미국 정신건강연구협회(NARSAD)로부터 중견연구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류 교수는 과기부의 '뇌기능활용 및 뇌질환 치료기술개발 연구사업단'과 NIH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다양한 뇌 영상 연구를 통해 히로뽕 중독의 원인과 병리 규명에 기여한 공로로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그동안 해외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히로뽕 의존 환자에서 전두엽의 이상이 보고돼 왔으나 히로뽕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드물었고, 히로뽕을 끊고 난 뒤 뇌 이상의 회복 여부 등에 관한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를 체계적으로 관찰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류 교수는 2004년부터 히로뽕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에 따른 뇌 구조 및 전두엽의 기능 및 구조적 이상, 남녀에 따른 뇌 구조 이상의 차이, 히로뽕을 중단한 이후의 전두엽 이상의 회복 등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는 연구결과 7편 이상을 해외 유수 저널에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여왔다.
류 교수는 그동안 연구에서 히로뽕 의존 환자의 전두엽 중 세포들이 모여있는 회백질 부위가 손상돼 있거나 세포량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관찰했다.
또 여성보다 남성의 전두엽 손상 정도가 심했고, 히로뽕을 중단한 지 6개월이 지나면 뇌 손상이 눈에 띄게 회복된다는 점을 밝혀냈다.
류 교수는 "해외와 달리 국내 마약 환자들은 중 코카인 등 여러 종류의 마약을 동시에 복용하지 않고 히로뽕만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 이번 히로뽕 환자의 뇌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면서 "특히 국내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연구에 협조해준 데 대해 감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히로뽕을 중단하는 것만으로 뇌 손상이 회복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면서 "이번 연구가 환자들이 희망을 갖고 히로뽕을 중단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류 교수는 부상으로 1만3천달러의 미국 방문협력연구비를 지원받고 과기부 뇌기능활용 및 뇌질환 치료기술개발 연구사업단의 지원으로 미국 하버드 의대 뇌영상연구소에서 첨단 뇌영상분석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jnlee@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