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희재 미디어워치 대표고문은 뤼슈렌 전 대만 부총통이 제안한 한국-대만-일본의 ‘민주태평양동맹’ 결성과 관련해서 크게 공감하면서도 당장 실현시키기엔 한국의 반일팔이 정서가 큰 걸림돌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변 고문은 8월 24일 오후 덕수궁 상연재에서 진행된 ‘제3회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의 마지막 순서인 토론에서 1회, 2회 행사를 거쳐 3회차 선언식을 진행한 소감을 밝힌 후 이같이 지적했다. 한민호 공자학원실체알리기운동본부 대표 및 황의원 미디어워치 대표이사와 함께 진행한 이 토론에서 변 고문은 “한국-대만 국교정상화 선언식을 시작한 2019년은 문재인 정권이 폭주하면서 반일/반미 노선을 추진하던 시기”라며 “반면 대만은 차이잉원 총통이 선명한 친미노선으로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했던 미국과 가까워졌기에, 이게 계속될 경우 한국이 미국이 구상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배제당하며 나라가 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변 고문은 “2019년 8월 24일의 그 행사를 수많은 대만 언론이 대서특필했는데, 한국에서는 우리 미디어워치를 제외하고는 단 한 곳도 보도하지 않았다”며 “이후 미디어워치가 선언식에서 그치지 않고 대만 현지 언론에 양국
일본의 대표적인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의 사쿠라이 요시코(櫻井よしこ) 이사장이 지난 8월 10일자 MBC PD수첩의 보도를 재차 비판했다. 앞서 국가기본문제연구소는 방송 다음 날인 11일에도 MBC에 대해 공개적으로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사쿠라이 이사장은 “한국 MBC의 어처구니없는 저급함(韓国MBC、呆れるばかりの低レベル)” 제하 칼럼을 26일자 ‘슈칸신초(週刊新潮)’를 통해 발표했다. 칼럼에서 사쿠라이 이사장은 “지난 8월 10일 한국 MBC의 “PD 수첩”이 ‘부당거래-국정원과 일본 극우’라는 방송분을 방영했다“며 ”일본어로 번역을 의뢰하여 시청하였는데, ‘조사보도’란 이름뿐인 허술하기 짝이 없는 내용”이라고 비판했다. 사쿠라이 이사장은 “방송에서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나 자신이 이사장을 지내고 있는 국가기본문제연구소(국기연)가 한국 국정원으로부터 정보 등 지원을 받았다고 단언했다”며, “하지만 국기연은 국정원을 포함 어떠한 외국 정부 기관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은 적이 없고, MBC의 일련의 보도는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또한 본 방송은 이러한 사실무근의 명예훼손을 범하는
류석춘 전 연세대학교 교수가 수업 중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는 이유로 형사재판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 노엄 촘스키와 스티븐 핑커 등 일본, 미국, 한국의 지식인들이 류 교수의 무죄를 호소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이 문제는 국제적인 문제로까지 비화된 상태다. 여기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3일 ‘윤미향 보호법’이라고 비난받는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의 일부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했고, 이미 상임위를 통과한 '언론중재법 개정안'도 격한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물론, 국제언론인협회(IPI), 국경없는기자회(RSF)까지, 한국을 '언론탄압국'으로 보는 비판적 시선이 국제사회에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25일(현지시각), 일본 후지-산케이 계열 유력 방송사인 ‘후지뉴스네트워크(Fuji News Network, FNN)’는 홈페이지에 “‘여기가 북한이냐!’ 언론 탄압을 추진하는 한국, ‘위안부의 사실’을 보도하면 기소?” 제하 와타나베 야스히로(渡邊康弘) 서울지국장의 칼럼을 게재했다. 와타나베 국장은 “자유 민주주의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언론의
‘판다의 발톱(Claws of the Panda)’의 저자이며 국제문제 전문가인 조너선 맨소프(Jonathan Manthorpe)가 8월 24일 오후 덕수궁 상연재에서 열린 제3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에 격려사를 보내왔다. 맨소프는 ‘판다의 발톱(Claws of the Panda)’ 한국어판이 미디어워치에 의해 곧 출판 예정이라는 사실을 소개하면서 “이 책은 캐나다 지도층의 중공에 대한 ‘자기기만(self-delusion)’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캐나다 엘리트들은 중공과의 정치적, 경제적, 학문적 관계를 통해 중공 정부를 설득해서 그들이 서방의 민주주의와 인권 등의 가치를 받아들이도록 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미국도, 호주, 뉴질랜드 및 일부 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고 밝혔다. 맨소프는 중국인들이 일자리를 찾아서 캐나다로 이주하던 1880년부터 중공에 대한 캐나다인들의 자기기만이 시작됐으며 1940년대가 되자 중국에 거주하던 캐나다 선교사들은 물론이고 외교관들까지도 중국의 집권당이었던 국민당보다는 공산당에 친화적인 생각을 가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어 1970년대 캐나다가 서양 국가들 중 중공과 가장 먼저 수교한
애한파로 잘 알려진 일본의 지식인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일본 레이타쿠 대학 교수가 8월 24일 오후 덕수궁 상연재에서 열린 제3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에서 인상적인 격려사를 남겼다. 차이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대신 보낸 동영상 격려사를 통해서 니시오카 교수는 이날 “지금까지 한국의 자유보수파 여러분과 다양한 논의를 주고받으며 협력해 왔는데, 우리는 북한의 3대 세습 독재정권에 대하여 일본과 한국의 자유보수파가 힘을 합쳐 투쟁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니시오카 교수는 “한국의 자유보수파와 일본의 자유보수파의 제휴를 방해하는 요소 중 하나가 역사 문제”라고 전제하고 이 문제에 한일 양국의 친북좌파 뿐 아니라 중국 공산당도 개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니시오카 교수는 “최근 중국은 과거에 위안부가 40만 명이 있었다는 등 위안부 문제에 있어 황당무계한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중공의 이같은 주장이 전혀 근거가 없음을 강조한 후 “이 위안부 문제에서도 중국이 악용하여 한일 자유주의 세력의 단합을 방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니시오카 교수는 중국을 떠돌고 있는 탈북자 여성들이야말로 우리가 구출해내야 할 현대판 성노예라고 언급했다. 그는 “탈
최근 한국에서 신간 출판을 앞두고 있는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이 8월 24일 오후 덕수궁 상연재에서 무사히 끝난 ‘제3회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에서 한국과 대만 및 일본의 동맹을 강조하는 격려사를 했다. 차이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한국 재방문을 보류하고 있는 뤼 전 부총통은 이날 동영상으로 보낸 격려사에서 “최근 유엔에서 대한민국을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격상시켰으며 대한민국은 이제 200개국 중 경제규모 세계 10위로 진입했다”며 “한국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세 개의 사회주의 국가에 둘러싸여 있지만 끊임없이 생존하고 발전하여 인문, 과학기술 모두 눈부신 성취를 이뤄냈으며 글로벌 발전의 모델이 되었다”고 축하 메시지를 남겼다. 뤼 전 부총통은 최근 한미 정상회담 직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양국 정상이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매우 중시한다고 언급한 사실을 소개하고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 내용과도 유사하다”며 “이를 보면 대만 문제는 결코 중국 내정 문제가 아니라 지역적인, 나아가 국제적인 중대 사안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뤼 전 부총통은 “최근 전 세계 인류가 함께 코로나
제3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이 8월 24일 오후 3시, 덕수궁 상연재 컨퍼런스 8번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차이나바이러스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면서 진행한 이날 행사에서는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 니시오카 쓰토무 일본 레이타쿠 대학 교수, 조너선 맨소프 ‘판다의 발톱, 캐나다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저자가 영상으로 격려사를 보내왔다. 이번 대선에 출마한 최대집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현장에서 축사를 했다. 이날 최대집 후보는 대만과 일본을 “중국과 북한의 독재폭정체제에 함께 맞서고 있는, 미국을 제외한다면 우리의 최대 우방국”이라고 지칭했다. 최 후보는 “이 두 나라는 6.25 남침 전쟁에도 비공식적으로 참전국 중 최대 규모로 참전해주어 대한민국을 지키는 데에 혁혁한 공을 세웠고 냉전시절에도 물심양면 우리를 도왔다”며 “그런 대만,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를 (정부가 아닌) 민간에서 이렇게 선언해야 한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또 최 후보는 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공을 겨냥해 “북한이 스스로 붕괴될 것이 거의 확실시 되는 상황에서 우리 자유세력이 북한을 자유 지역으로 해방시키기 위해서라도 중국 정부가 포용적 외교 정책
대만 민주화의 주역이며 현재 한국과 대만의 우호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에 대한 영화가 제23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28일(토)과 31일(화)에 상영될 예정이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대만 젠웨이쓰 감독의 1997년작 영화 “되돌아본 길 - 여성 정치참여의 자취(Echo with Women's Voices Their Involvement in Political Movements)”를 이날 상영한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에서는 페미니스트들이 극좌 정치세력과 결탁하면서 역으로 젊은 남성들을 탄압하는 등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지만, 이 영화가 다룬 1970년대와 1980년대는 한국과 대만을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여성인권이 열악하던 시기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지난 30년 동안의 대만 여성 운동과 여성의 정치 참여를 살펴보는 내용으로, 두 차례 부총통을 지낸 걸출한 여성 운동가이자 정치가인 뤼슈렌이 메이리다오 사건으로 투옥된 후 후배 정치인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읽으면서 시작된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인 황미요조 씨는 홈페이지에 게재한 영화 소개자료에서 “뤼슈렌이 유학에서 돌아왔을 때 대만 여
※ 본 콘텐츠는 군함도 문제와 관련 일본 측 정보센터 전시 내용의 시정을 요구한 제44차 유네스코 결의에 대한 가토 고코(加藤康子) 일본 산업유산국민회의(産業遺産国民会議) 전무이사의 또다른 반박 입장문(‘한국 편향의 유네스코 결의와 보고서(韓国と活動家の主張によりそうユネスコ決議と報告書)’)이다. 일본 군함도(하시마) 측 당사자의 정확한 입장을 알린다는 차원에서 일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에 올라온 입장문 전문을 번역 소개한다. (번역 : 요시다 켄지) 한국 편향의 유네스코 결의와 보고서 (韓国と活動家の主張によりそうユネスコ決議と報告書) 나가사키 시의 하시마 탄갱(통칭・군함도)을 포함한 세계문화유산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에 관하여 유엔 교육과학문화 기관(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위원회는 7월 22일, 전시 징용 조선인 노동자에 관한 ‘산업정보센터’의 설명이 불충분하다며 ‘강한 유감’을 담은 결의를 채택했다. 결의에 포함된 유네스코와 이코모스(국제기념물유산회의)의 합동 조사 보고서에는, 일본 정부가 유산의 전체상(全体像)을 소개하는 데 있어서 도쿄도 신주쿠에 설치한 산업유산정보 센터의 군함도 탄갱의 전시가 “희생자의 기억을 기록하는” 조치로서는
수업중 위안부 문제 관련 발언으로 기소된 연세대 류석춘 교수의 형사재판이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노엄 촘스키 MIT 명예교수,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류 교수를 기소한 한국 검찰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데 이어, 유력 언론에서도 이 재판에 대해 대서특필한 것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주류 언론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하 WSJ)’은 21일자(현지시간) 인터넷판에 티모시 W 마틴(Timothy W. Martin) 기자와 윤다슬 기자가 공동작성한 “대학교수가 위안부 관련 강의로 기소되면서 학문의 자유에 대한 논의 촉발(Professor’s ‘Comfort-Women’ Lecture Gets Him Indicted—And Sparks Debate on Academic Freedom)” 제하 기사를 게재했다. WSJ는 연세대 류석춘 교수가 지난 2019년 가을학기 수업중에 했던 위안부 문제 관련 발언을 한 학생이 녹취해서 퍼뜨려서 연세대가 류 교수에게 정직 처분을 내린 사실을 소개했다. WSJ는 이어 “이로 인해 그는 대학에서의 학문적 자유에 대한 국제적 논란의 주인공이 됐다”고 덧붙였다. WS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이 오는 24일로 예정된 미디어워치 주최 ‘제 3회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에 축전을 보내왔다. 뤼 전 부총통은 축전 서두에서 한국이 지난 7월 무역개발회의(UNCTAD)에 의해 선진국으로 선포된 사실을 언급하면서 한국인들에게 축하인사를 건넸다. 이어서 “이것은 전 세계에서 유엔 결의에 의해 국가 위상이 향상된 첫 사례로, 저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 뤼 전 부총통은 자신이 한국의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생산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1차로 접종한 후 일본이 대만에 기증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2차로 접종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이어 “이 아름다운 결합은 바로 한국, 일본, 대만, 3자가 한층 더 결속하여 동아시아의 ‘골든 트라이앵글(황금 삼각지대)’이 될 수 있다는 상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뤼 전 부총통은 대한민국이 북쪽으로는 북한, 서쪽으로는 중국, 더 나아가서는 러시아까지, 전 세계 가장 주요한 세 개 사회주의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는 상황을 가리키면서 이에 대해 “대한민국의 생존발전에 있어 하나의 도전일 것이며, 또 쉴 틈이 없는 시험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그런
제3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이 오는 8월 24일 오후 3시, 덕수궁 상연재 컨퍼런스 8번홀에서 열린다. 변희재 본지 대표고문은 한국이 중공과 수교를 맺기 위해 대만대사관에 철수를 통보한 날인 1992년 8월 24일을 상기하자는 차원에서 2019년부터 매년 8월 24일마다 대만과의 국교정상화를 정치권에 촉구하는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선언식은 특별히 ‘중국 공산당 패권에 도전하는 한국, 대만, 일본, 그리고 캐나다’라는 주제 하에 관련 책들에 대한 서평과 토론회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작년에 이어 이번 선언식에도 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이 영상 축사를 보내왔다. 뤼 전 부총통이 집필한, 양안(대만과 중국) 관계를 다룬 책 '대만은 왜 중국에 맞서는가(兩岸恩怨如何了?)'는 9월 중 한국어판이 미디어워치 출판사를 통해 출간될 예정이다. 니시오카 쓰토무(西岡力) 일본 레이타쿠 대학 교수도 중국 공산당의 한·일 이간질을 위한 위안부 문제 공작에 대한 비판 내용으로 영상 축사를 보내왔다. 니시오카 교수는 최근 미디어워치 출판사를 통해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よくわかる慰安婦問題)’을 출간한 바 있다.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하나다(月刊Hanada)’ 2021년 5월호에 게재된 시마다 요이치(島田洋一) 후쿠이(福井)현립대 교수의 ‘베이징 제노사이드 올림픽을 보이콧 하라!(北京ジェノサイド五輪をボイコットせよ)’를 ‘겟칸하나다’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요시다 켄지) 베이징 제노사이드 올림픽을 보이콧 하라 (北京ジェノサイド五輪をボイコットせよ) [필자소개] 시마다 요이치(島田洋一)는 후쿠이(福井)현립대 교수이자 국가기본문제연구소 평의원·기획위원, 납치피해자를 구출하는 전국협의회(拉致被害者を救う会全国協議会) 부회장이다. 1957년 오사카에 출생했다. 교토대 대학원 법학 연구과 정치학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저서로 ‘미국·북조선 항쟁사(アメリカ・北朝鮮抗争史)’ 등 다수가 있다. 중국 공산당에 ‘프로파간다의 승리’를 안겨선 안 된다 미국에서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 변경과 아울러 보이콧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유력 보수 정치인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포문을 연 건 폼페이오(Mike Pompeo) 전 국무장관이다. 그는 올해 2월 16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처절한 인권 억압이 계속되고 있는 중국에서 올
노엄 촘스키 MIT 명예교수,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교수를 포함한 미국 주도 한미일 석학들이, 학교 수업 중 발언 내용을 문제 삼아 류석춘 교수를 기소한 한국 검찰을 강력하게 규탄했다. 석학들은 이날 성명서에서 “서울 서부지방검찰청의 류석춘 교수에 대한 검찰 기소와 관련, 저희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성명서는 13일자로 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에도 한국어, 영어, 일어판이 각각 공개됐다. 류 교수는 2019년 9월 자신의 수업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위안부는 매춘의 일종”이라는 발언을 했다. 검찰은 이 발언이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이라며 류 교수를 기소했다. 이와 관련 석학들은 “류 교수는 강의 중에 역사적 문제로 단지 자신의 생각을 말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류 교수는 30년 동안 이어져 온 위안부 문제에 대한 통념에 대해서 (다양한 증거에 의거하여) 이의를 제기하는 반론을 소개했을 뿐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석학들은 “저희는 이번 한국 검찰의 기소가 한국 고등교육에 대한 심각한 모욕이라고 생각한다”며 “지난 몇 년동안 한국의 고등교육 시스템 또한 한층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전 세계의 학생